일본의 대표적 동양사학자 미야자키 이치사다의 <중국 통사>(서커스, 2016)가 출간되었다. "교토 학파의 중심인물로20세기 일본 역사학계를 이끌었다"는 거물로 국내에도 몇 권의 책이 소개돼 있다. 역사서가 아닌 <논어> 해설서로 이름이 알려졌지만 지난 여름에 <과거, 중국의 시험지옥>(역사비평사, 2017)이 출간됐고 이번에 <중국 통사>까지 나왔으니 저자의 명망을 제대로 음미해볼 수 있겠다. 일본에서는 '일반 독자를 위한 최고의 개설서'란 평을 듣는다고.
![](http://image.aladin.co.kr/product/9506/90/cover150/k82253583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492/8/cover150/897696428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0/25/cover150/8987608239_1.jpg)
"20세기 동양사학의 최고 석학 중 한 명인 미야자키 이치사다가 교토대학을 정년퇴직한 뒤 일반 독자들을 대상으로 저술한 중국사 개설서이다. 중국사는 물론이고 동서양의 역사를 아우르는 저자의 박람강기를 바탕에 놓고 마치 에세이를 쓰듯이 쉽고 재미있게 중국사 전반을 서술하고 있다. 일본 독자들은 이 책을 '대학자가 아니면 쓸 수 없는 책', '통사의 최고 걸작', '기존의 중국사와는 완전히 차원이 다른 책'이라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9542/15/cover150/k25253513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130/99/cover150/899460639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669/49/cover150/8994606300_1.jpg)
일본 이름으로 '미야자키'와 '미야지마'가 무슨 연관이 있을 성싶지 않지만, 연상 작용 덕분에 저명한 동양사학자 미야지마 히로시도 떠올리게 된다. 한국사가 주된 베이스이지만 동아시아 연구로도 시야를 확장하고 있는 역사학자다. 미야지마의 공저 <동아시아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성균관대출판부, 2016)도 이번에 출간됐다. 지난해 이맘때 나온 <동아시아 몇 시인가?>(너머북스, 2015)도 다시금 생각나는데, <새로운 동아시아사 교과서>(너머북스)도 근간 예정이다(이 또한 공저이지 않을까 한다).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너머북스, 2013)를 인상적으로 읽은 터라 모두 기대가 되는 책들이다...
16. 10. 28.
P.S. 이 페이퍼는 웹브라우저 크롬에서 작성한 것이다. PC의 드라이버가 문제인 줄 알았는데, 웹브라우저를 익스플로러에서 크롬으로 바꾸니 사정이 좀 나아졌다(최소한 속도는 좋아졌다). 몇 가지 좀 익숙치 않거나 작동하지 않는 기능이 있어서 적응에는 시간이 걸릴 듯하지만, 이제 집 PC로도 페이퍼를 어느 정도 쓸 수 있을 듯싶다. 근 한달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