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일이 많이 밀려서 결국 또 PC방에 왔다. 일단 '이주의 저자'부터 고르는데, 분야별로 자리를 마련해야 할 형편이다. 먼저 신작을 낸 세 명의 소설가를 한데 묶는다.

 

 

우선 중견작가 성석제의 소설 두 권이 한꺼번에 나왔다. <믜리도 괴리도 없이>와 <첫사랑>(문학동네, 2016)이다. 소설로는 <투명인간>(창비, 2014) 이후인 것 같고, 단행본으로는 에세이 <꾸들꾸들 물고기 씨, 어딜 가시나>(한겨레출판, 2015) 다음이다. <믜리도 괴리도 없이>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집필한 여덟 편의 단편소설을 묶은 책이자, 작가가 1996년 첫 소설집을 출간한 이후 꼭 20년이 되는 해에 펴내는 새로운 소설집이다. 새 소설의 제목 '믜리도 괴리도 업시'는 고려가요 '청산별곡'의 한 구절에서 인용한 것으로, '미워할 이도 사랑할 이도 없이'라는 뜻이다."

 

 

반면에 <첫사랑>은 소설선집이다. "이 책은 성석제의 첫번째 소설집 <내 인생의 마지막 4.5초>와 두번째 소설집 <조동관 약전>에 담긴 초기작 가운데서 20년이 지난 오늘에도 독자들에게 여전히 회자되는 걸작을 엮은 소설선집이다. "

 

알라딘에서 검색되는 성석제의 첫 책은 <나의 꿈은 바둑왕>(한뜻, 1995)와 <위대한 거짓말>(문예마당, 1995)이지만, 내가 기억하는 건 시인 성석제였다. 프로필에는 1995년에 소설로 등단했다고 하는데, 나는 왜 시인으로 먼저 기억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여하튼 소설가로 더 융숭한 대접을 받고 있지만 <검은 암소의 천국>(민음사, 1997)을 펴낸 시인이기도 하다.  

 

 

신작이 뜸하다 할 때쯤, 때맞춰 작가 정이현도 새 소설집을 펴냈다. <상냥한 폭력의 시대>(문학과지성사, 2016). 2002년에 등단하여 첫 소설집 <낭만적 사랑과 사회>를 펴낸 게 2003년이었고, 이번에 세번째 소설집이라 하니 다작은 아닌 셈.

 

 

중간에 장편 히트작 <달콤한 나의 도시>(2006)와 알랭 드 보통과의 공동 작업 <사랑의 기초 -연인들>(2012)을 더 펴내기도 했다. 소개에 따르면 이번 소설집에서는 다소 변화된 관점과 정서를 담고 있다고. "<상냥한 폭력의 시대>는 2013년 겨울부터 발표한 소설들 가운데 일곱 편을 추려 묶은 책이다. 2000년대 중반 정이현 소설에 따라붙던 "도발적이고 발칙하며, 감각적이고 치밀하다"는 수식의 절반은 지금 대체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성장했고, 시대는 달라졌으며, 이에 발맞춰 정이현도 변화했다. 그의 문장은 여전히 감각적이고 치밀하지만, 정이현은 이제 2010년대와 동세대 사람들에게서 톡 쏘는 '쿨함' 대신 '모멸'과 '관성'이라는 서늘한 무심함을 읽어낸다."

 

 

러시아문학 번역가로 잘 알려진 작가 김연경도 오랜만에 신작 소설집을 펴냈다. <파우스트 박사의 오류>(강, 2016). 1996년에 등단했으니 올해가 20년차. 연구자와 번역자를 겸한 탓에 소설가로서의 소출이 많지는 않았다. 11년만에 나온 신작 소설집인 만큼 재기의 의미도 있다고 보인다(2009년에 나온 <고양이의 이중생활>은 장편소설이다). 

 

"김연경의 신작 소설집이 나왔다. 2005년 <내 아내의 모든 것> 이후 십여 년 만이다. 작가는 그 공백을 가득 메우기라도 하듯 이번 소설집을 소설이라는 삶의 이야기로 꽉 채우고 있다. 소설집이지만 구성이 1부와 2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 있는 네 편의 소설은 2012년 이후로 쓰인 것이고, 2부의 네 편은 2010년 이전의 작품들이다. 작가는 소설들 사이에 엄연히 존재하는 시간과 문체의 차이를 강조했다고 말한다."

개인적으로는 내년에 괴테의 <파우스트> 강의를 다시 기획하고 있어서 표제작 '파우스트 박사의 오류'에 관심이 간다. 파우스트 모티브를 어떻게 변주하고 있을지 궁금하다...

 

16. 10. 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