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도 인문 분야에서 고른다. <철학 VS 철학>(오월의봄, 2016)의 '개정 완전판'을 펴낸 강신주가 첫 주자다. 2010년판도 928쪽에 달했는데, 이번에 나온 '완전판'은 1492쪽에 이른다. 보통 이럴 때 쓰는 말이 '미쳤다!' 아닌가.  

 

"철학자 강신주의 대표작 <철학 VS 철학> 개정 완전판. 이번 개정 완전판에서 저자 강신주는 3,000매에 달하는 원고를 더 추가했다. 열 개의 장이 새로 추가되었고, ‘처음, 철학이란 무엇인가?’ ‘지금, 철학이란 무엇인가?’라는 글도 새로 썼다(추가된 철학자 항목은 다음과 같다. 힐베르트 VS 브라우어, 그람시 VS 벤야민, 클레 VS 로스코, 하이젠베르크 VS 프리고진, 메를로-퐁티 VS 리오타르, 순자 VS 송견, 스티라마티 VS 디그나가, 정약용 VS 최제우, 청년 신채호 VS 장년 신채호, 이어령 VS 김수영). 더군다나 초판에는 없는 ‘고찰(Remarks)’이란 새 꼭지를 만들어서 기존 철학자들의 입장을 대거 보충했다. 이 ‘고찰’을 통해서 저자는 대립 관계로 철학사를 집필하느라 놓칠 수도 있는 중요한 철학사적 쟁점과 정보들, 그리고 해당 쟁점과 관련된 비교철학적 전망들을 소개하고 있다."

여하튼 나로선 좀 특별한 종류의 '철학자 사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싶다(이런 '무모한' 책은 앞으로도 전무후무하지 않을까). 몇년 전에 인터뷰집 <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당당한 인문학>(시대의창, 2013)을 일컬어 '강신주의 모든 것'이라고 불렀는데, 저자에게 묻는다면 의당 <철학 VS 철학>이라고 답할 만하다.

 

 

고구려 벽화 연구의 권위자 전호태 교수가 '고구려 고분 벽화의 모든 것'이라고 할 만한 책을 펴냈다. <고구려 벽화고분>(돌베개, 2016).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사계절, 2000), <고구려 고분벽화 읽기>(서울대출판부, 2008) 등의 이전 성과를 마무리 짓는 의미가 있지 않나 싶다. '고구려인의 세계상과 예술로 지은 아름다운 공간, 벽화고분의 전모'가 부제(초점이 '벽화'에서 '고분'으로 이동한 것인가?). 

 

목차 외에는 책에 대한 소개가 떠 있지 않아서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지만, '고구려 벽화고분을 바라보는 종합적인 시선'(서장)과 '고구려 벽화고분 연구 현황과 과제'(맺음말) 정도는 일반 독자도 읽어둘 만하다.

 

 

프랑스 철학, 특히 푸코를 전공한 허경 박사의 팸플릿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길밖의길, 2016)이 얼마 전에 출간되었다. '대안연구공동체 작은 책' 시리즈의 하나인데, '통치자 담론에서 피통치자 담론으로'가 부제. 저자의 '2016년 대한민국 사회론'이다. 

"2016년의 대한민국 사회는 거대한 임계점을 맞이하고 있다. 이제까지 합리적이었고 용납할 수 있었던 모든 일이 하루아침에 '비합리적인 것'으로 치부되며 '용납할 수 없는 일'이 되어 버리는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 도처에서 목격된다. 이러한 현상이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우리가 오늘의 한국 사회를 과거의 틀, 과거의 합리성을 통해 바라보기 때문이다. 나는 이를 이제까지 100여 년간 우리의 인식을 지배해왔던 서구근대 인식론의 파산을 증명하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 현상으로 생각한다. 나아가 나는 이러한 '이해할 수 없음'이야말로 오히려 새로운 시대, 새로운 합리성의 도래를 알리는 '희망의 근거'임을 말하고자 한다."

저자의 푸코 관련서로는 번역서 <문학의 고고학>(인간사랑, 2015)과 해설서 <미셸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 읽기>(세창출판사, 2016) 등이 나와 있지만 '푸코와 근대성'을 다룬 책(학위논문) 출간이 계속 늦어지는 듯싶다. <푸코와 근대성>을 기다리는 독자들이 막간용으로 읽을 만하다.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16. 08. 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