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오르한 파묵의 (소설이 아닌) 두툼한 에세이가 출간됐다. <다른 색들>(민음사, 2016). 나는 미리 영역판도 주문해서 받아놓은 터라(그의 소설 대부분도 그렇게 갖고 있다) 바로 읽을 준비가 돼 있다. 예상대로 '오르한 파묵의 모든 것'이라고 할 만한 구성이다. 부제는 '오르한 파묵의 시간과 공간, 문학과 사람들'이다. 그의 일상과 독서, 그리고 사회정치적 이슈들에 대한 생각을 빼곡하게 담고 있다.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오르한 파묵이 다양한 색채와 다채로운 키워드로 풀어내는 우리 인생의 이야기. 딸과 가족이 함께한 소소하고 아름다운 일상, 아침부터 저녁까지 작가의 삶을 지배하는 문학과 집필 같은 지극히 내밀한 이야기에서부터 터키 국내 인권의 현실, 정부 비판으로 인해 겪은 소송, 대지진을 통해 새롭게 깨달은 사회적 문제점, 유럽 내 터키의 현주소 등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향한 날카로운 시선, 나아가 파리 리뷰 인터뷰와 노벨 문학상 수상 소감 등 그의 작가 인생을 빛낸 순간들까지……."

파묵의 책으로는 이제 역시나 두툼한 신작 소설 <내 마음 속의 기이함>만 번역돼 나오면 되는 듯싶다(<채식주의자>와 함께 경합을 벌였던 맨부커상 후보작이었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읽기' 강의가 계기가 돼 파묵의 작품은 여러 편 강의에서 다룬 적이 있다. <내 이름을 빨강>, <새로운 인생>, <하얀성> 등인데, 아직 전모를 파악하기에는 좀 부족하다.

 

 

남은 작품들 가운데, 데뷔작인 <제브데트 씨와 아들들>, '처음이자 마지막 정치소설'이라고 밝힌 <눈>, 그리고 노벨상 수상 이후의 처음 발표한 <순수박물관>까지는 다루는 게 개인적인 목표이고 욕심이다(그렇게 되면 <검은 책>과 <고요한 집> 정도만 남는다). 내년에 파묵을 포함해서 터키문학을 다루거나 오르한 파묵 대표작 읽기 같은 강의를 시도해보려고 한다.

 

 

파묵을 읽는 데 도움이 될 만한 강연과 에세이로는 <소설과 소설가>와 <이스탄불>이 있다. 전담 번역자인 이난아 씨의 <오르한 파묵>도 참고가 되는데, 역자 후기 모음이어서 파묵의 책을 이미 다 갖고 있는 독자라면 실망할 수 있다.

 

<다른 색들>의 실린 독서록에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로부터의 수기>와 <악령>,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그리고 나보코프의 <롤리타>에 대한 감상평도 포함돼 있다. 독서 경험에 한정하면 파묵이 읽은 책 대부분이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압도적인 작가라기보다는 '우리 동네 소설 잘 쓰는 형' 정도의 이미지를 내가 떠올리는 이유다(더불어 <내 마음 속의 기이함>이란 신작이 궁금한 이유인데, 과연 그에게 '기이함'이란 어떤 것일까). 사실 그의 <소설과 소설가>도 너무 평이해서 나는 놀랐었다. <다른 색들>에서는 '친근한 파묵'보다 '경이로운 파묵'을 발견할 수 있었으면 싶다...

 

16. 08. 19. 

 

 

P.S. <다른 색들>에서 눈길이 먼저 간 곳은 역시나 도스토예프스키와 나보코프에 대한 글들인데, 번역은 (예상대로) 썩 좋은 편이 아니다. 부정확하게 옮겨진 대목들이 드물지 않은데, 가령 러시아어 '나로드'(영어로 '피플')를 '서민'이라고 옮긴 것은 역자나 편집자의 둔감함을 탓하고 싶다. '민중'이나 '인민'으로 옮기는 게 적절하다. 영어의 'materialist'는 '물질주의자'로 옮겼는데, 요즘은 그렇게 쓰이는지 모르겠지만 '유물론자'로 옮기는 게 상식적이지 않나?

 

234쪽에서 도스토예프스키와 비교가 되는 다른 작가로 파묵은 '디킨스'를 예로 드는데, '디킨슨'으로 잘못 옮겨졌다. 오타가 날 수는 있지만 교정 과정에서 걸러지지 않은 것은 유감이다. 그리고 239쪽 나보코프를 다룬 글의 부제가 '나보코프의 <섬>과 <롤리타>에 대하여'로 돼 있는데, <섬>은 <아다>의 오역이다. 본문에서는 작품명이 모두 <아다>라고 돼 있는데, 부제에는 엉뚱한 제목이 들어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