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는 다르지만 과학을 주제로 한 흥미로운(그러면서 난이도가 좀 되는) 책 두 권을 한데 묶는다. 무의식의 저널(엄브라) 시리즈로 나온 <과학의 유령>(인간사랑, 2016)과 프랑스의 과학철학자 브뤼노 라투르의 <젊은 과학의 전선>(아카넷, 2016)이다.

 

 

'엄브라' 시리즈는 <법은 아무것도 모른다>(인간사랑, 2008) 이후 띄엄띄엄 나오고 있는데, 원 잡지가 그렇게 나오는 게 아니라, 한국어판이 일인 번역의 결과라서다. <과학의 유령>은 <전쟁은 없다>(2011), <검은 신>(2013)에 이어서 넷째 권으로 나온 책이 된다. 정신분석 계열의 잡지답게 이번에도 슬라보예 지젝과 알랭 바디우 등이 필자로 참여했다.

 

따로 책소개가 올라오지 않아서 목차만 참고할 수 있을 뿐인데, 지젝의 글은 '라깡, 문화연구와 인지주의 사이'란 제목이고, 바디우의 글은 '프레게/프레게 사용법'이다. 번역만으로는 해독이 불가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원문도 참조해서 보는 게 좋겠다(그런 생각으로 있다 보니 아직 앞에 나온 책들도 제대로 읽어보지 못했지만). 필자 중에 지젝과 같은 슬로베니아 철학자 '미란 보조빅'은 '미란 보조비치'라고 표기했더라면 더 좋았겠다.

 

 

<암흑지점>(도서출판b, 2004)을 비롯해서 국내에 이미 그렇게 소개돼 있다.

 

 

라투르의 책은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사월의책, 2012)에 이어서 오랜만에 소개된다. 그래봐야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갈무리, 2009)까지 포함해서 세 권밖에 되지 않지만. 학술명저번역총서의 하나로 나온 이번 책의 부제는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이다. 책의 모양새와 부제가 전문 학술서다운 티를 완연하게 드러낸다.

"라투르가 1987년 저술한 책으로 과학과 기술,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련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으며, 이제 과학기술학은 물론 사회과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라투르는 ‘행위자-연결망 이론’ 틀을 본격적으로 정립하고 있는데, 오늘날 이 이론이 과학기술학을 넘어서 사회학, 인류학, 경영학, 심리학 등에도 그 영향력이 확산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관련 학자에게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과학사회학 내지 과학기술학 분야의 책으로 분류되는 듯한데, 이 분야의 책은 <과학인문학 편지>을 감수를 맡았던 김환석 교수의 책들이 가이드가 된다. 미리 좀 참고한 다음에 라투르의 책으로 넘어가는 게 좋을 듯싶다...

 

16. 08. 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