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노동계급의 사회사, 1910-2010'을 부제로 갖고 있는 셀리나 토드의 <민중>(클, 2016)을 '이주의 발견'으로 꼽는다. 이 분야의 고전인 에드워드 톰슨의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창비)이 1780년대부터 1832년 사이의 노동계급 형성과정을 다룬 것에 견주면, 비록 19세기 후반이 비긴 하지만 그 뒷이야기로도 읽을 수 있다.
"20세기를 살아온 노동계급의 숨겨진 역사를 생생한 증언과 세밀한 기록으로 되살려낸 책. 노동계급 출신 역사학자인 저자 셀리나 토드는 영국 사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동계급이 1910년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이 불평등한 상황에 적응하고 저항하고 현실을 극복해왔는지를 다루고 있다."
아무래도 산업혁명의 발상지이자 자본주의 선진국인 터라 노동계급의 사회사에 있어서 영국은 여러 모로 모델이 된다.
덧붙여, 엥겔스의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라티오, 2014), 홉스봄 등의 <노동의 세기>(삼인,2000) 등도 같이 읽어볼 만하다. <노동의 세기>는 " '노동 운동 - 근대의 실패한 기획?'이라는 주제 아래 1999년 9월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국제노동사학회'(ITH)의 학술대회 논문들을 이 대회에 참석했던 임지현 교수가 각 발표자들의 동의를 얻어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인데, 현재는 절판된 상태. 구해근의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창비, 2002)는 톰슨의 노동계급 형성론을 한국 상황에 적용한 책이다. 1960년 최초로 도시 임금노동자가 등장하는 시기부터 다룬다.
<제르미날>에 대해 강의하다 보니 프랑스 노동계급의 형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되는데, 마땅한 책이 나와 있지 않은 듯싶다. 러시아 노동계급의 사회사도 마찬가지다. 문학은 문학이고, 이런 주제를 다룬 역사서가 궁금하다...
16. 08.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