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으로 정영환의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푸른역사, 2016)를 고른다. 저자가 한국인의 이름을 갖고 있지만 일본어 책을 번역한 것이다. 저자 소개가 따로 없지만 재일 조선인으로 보인다. 부제는 '<제국의 위안부>의 반역사성'이다. 곧 꽤 오래 논란이 되고 있는 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뿌리와이파리, 2013/2015)를 정면 비판하고 있는 책이다.

 

"박유하(세종대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2013)과 그를 둘러싼 사태에 대한 전면적이고 종합적인 비판서다. 저자 정영환의 <제국의 위안부> 비판은, 단순히 박유하의 입장에 대한 표면적인 반박에 머무르지 않고 한일 양국에서 벌어진 '<제국의 위안부> 사태'의 본질과 이 사태의 역사적.사상적.정치적 기원에 대한 총체적 분석의 형태를 띤다. 정영환은 이 저서에서 엄격한 실증적 방식으로 <제국의 위안부>의 문제점과 그 배경을 검증하여, <제국의 위안부>가 일본군 '위안부' 제도에 대한 일본의 국가책임을 최소화하고,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자의적으로 왜곡, 전유하고 악용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의 '전후보상'의 진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과대평가하는 등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밝힌다."

알다사피 박유하 교수의 책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훼손 죄로 기소되어 현재 재판이 진행중이다(최근 재판 관련 기사는 http://news1.kr/articles/?2692037). 그러한 사법적 판단과는 별개로 학문적으로 저자의 주장이 갖는 문제점에 대한 비판도 공론화될 필요가 있는데, 앞서 <제국의 변호인 박유하에게 묻다>(도서출판 말, 2016)이란 공저가 출간된 바 있고, 이번에 단독 저작으로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가 번역돼 나온 것.

 

특히 <제국의 위안부>가 일본 언론과 우익들에게 환영받는 현실을 고려하면 일본의 수용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점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돌아오는 광복절까지는 숙제로라도 삼아 읽어봄직하다. 책의 해제는 박노자 교수가 썼다...

 

16. 06.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