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코 작지 않은 역사' 시리즈의 책이 예상보다 빠른 템포로 출간되고 있다. 세번째 책으로 윌리엄 바이넘의 <창의적인 삶을 위한 과학의 역사>(에코리브르, 2016)가 나왔길래 상기하게 된 일인데, 앞서 존 서덜랜드의 <풍성한 삶을 위한 문학의 역사>(에코리브르, 2016)와 나이젤 워버턴의 <생각하는 삶을 위한 철학의 역사>(에코리브르, 2016)가 차례로 나왔었다. 그 가운데 가장 흥미를 끄는 것이 <과학의 역사>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에서 뉴턴, 아인슈타인, 크릭과 왓슨을 거쳐 디지털 혁명에 이르는 위대한 모험의 역사를 수록한 책이다. 문명의 발생부터 디지털 시대에 이르는 과학이 40개의 짤막한 장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을 서술할 때, 먼저 사회적 배경을 찬찬히 설명해줌으로써 당시 과학의 상태나 발견들을 훨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바이넘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듯한데, '가장 짧은 입문서' 시리즈의 <의학사>와 펭귄판 <종의 기원>의 서문을 쓴 걸로 보아 상당히 권위 있는 학자로 보인다. 그렇잖아도 문학사와 철학사에 비해 과학사 책이 부족해 보이는 터라(따지고 보면 문학사 책이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니지만) 여하튼 반갑다.

 

 

한편 나이젤 워버턴의 <철학의 역사>는 처음 소개되는 책이 아니다. <철학자와 철학하다>(에코리브르, 2012)로 나왔던 책의 개정판. 알고 보면 <문학의 역사>보다 먼저 나온 셈이다.

 

 

'결코 작지 않은 역사'는 예일대출판부의 '작은 역사(A Little History)' 시리즈를 옮긴 것인데, 어떤 책들이 더 나오는 건지(기획이 어디까지 돼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궁금해서 찾아봤다. 알라딘에서 검색되는 건 세 종이 더 있는데, 이미 번역돼 있는 <곰브리치 세계사>(비룡소, 2010)를 제외하면 <미국사>와 <종교사>가 더 남아 있다. <미국사>까지는 모르겠지만, <종교사>는 번역돼 나왔으면 싶다...

 

16. 05. 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