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알라딘의 블로거 베스트셀러 1위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직업으로서의 소설가>(현대문학, 2016)다. 하루키의 독자층을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겠다. 에세이도 소설 못지 않은 독자를 거느린 작가인지라 어느 정도 반응을 얻을지 궁금하다(오늘 아침 주간 종합순위 2위다. 한권도 읽어보지 못한 혜민 스님의 책이 1위군).
![](http://image.aladin.co.kr/product/8126/75/cover150/897275771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117/35/cover150/488418443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250/16/cover150/8955618352_1.jpg)
다른 주제라면 모를까 매주 네댓 권의 소설에 대해서 강의하는 처지인지라 (소설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직업으로서의 소설가>는 바로 손에 들 수밖에 없는 책이다. 게다가 하루키에 대해서도 근년에 여러 차례 강의한 경험이 있어서 내가 읽고 이해한 '소설가 하루키'와 맞춰보는 의미도 있다(이번주에 나온 우치다 타츠루의 <하루키씨를 조심하세요>(바다출판사, 2016)도 그런 용도로 읽을 수 있는 책). 그래서 바로 펼쳐보니 이런 대목이 나온다.
"잘 알려진 사례지만, 1922년에 파리의 어느 디너파티에서 마르셀 프루스트와 제임스 조이스가 동석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두 사람은 바로 옆자리에 있었는데도 끝까지 거의 한 마디도 나누지 않았습니다. 주위에서는 20세기를 대표하는 두 작가가 어떤 이야기를 나눌 것인가, 마른침을 삼키며 지켜봤지만 완전히 허탕을 쳤습니다. 서로 자부심 같은 게 강했던 것이겠지요. 뭐, 흔한 얘기입니다."
흔한 일이고, 흔한 얘기지만, '아무말 않고 앉아있기'라면 나도 자신있는데, 란 생각은 든다. 이것도 소설가의 자격조건이라면, 이제부터라도 소설을 써볼까란 엉뚱한 생각도 들고. 하지만 그보다 확실한 건 이번 여름에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대해 강의한다는 점이다(조이스의 작품으론 <젊은 예술가의 초상>을 여러 차례 강의했다). 그 정도 소설을 쓸 게 아니라면 읽고 강의하는 걸로 자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926/6/cover150/895660762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1/79/cover150/897013169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1/79/cover150/8970131701_1.jpg)
여름이 한달밖에 남지 않았으니 슬슬 프루스트 강의도 준비해야겠다. 그의 독서론과 함께 장 이브 타디에의 평전도 사전 독서거리다. 시간을 잃어버릴 준비를 단단히...
16. 0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