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과학서'로 두 권을 고른다. 미국 수학자 조던 엘렌버그의 <틀리지 않는 법>(열린책들, 2016)과 영국의 생물학자 루버트 셸드레이크의 <과학의 망상>(김영사, 2016)이다. <틀리지 않는 법>의 부제가 '수학적 사고의 힘'이다.
<틀리지 않는 법>은 저자가 쓴 첫 대중서라고 하는데, 펭귄에서 나온 걸로 보아 대중성과 필력을 짐작해볼 수 있다(펭귄에서 나온 교양서라면 가격 대비 수준이 보장된다. 대개 틀리지 않는다).
"저자는 우리가 수학을 대할 때 느끼는 근본적인 의문에 답한다. 즉, 우리가 살아가는 데 왜 수학이 필요한지,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지를 다른 어떤 책보다도 치밀하게, 명료하게 그리고 유쾌하게 보여준다. 엘렌버그는 학계를 선도하는 수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세상에 수학 전공자가 더 많아야 한다고 말한다. 복잡한 현실에서 수학이 없다면 우리가 얼마나 틀리기 쉬운지, 반대로 수학을 통해 어떻게 틀리지 않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여러 명망가들이 추천사를 붙였는데, 저명한 과학자이자 과학저술가 스티븐 핑커는 이렇게 적었다.
"이 멋진 책의 제목은 <보통 사람들을 위한 수학책>이라는 영예로운 분야에 이 책이 무엇을 보탤 것인지를 잘 알려 준다. 루이스 캐럴, 조지 가모, 마틴 가드너 같은 선배들처럼, 조던 엘렌버그는 수학이 어떻게 정신을 기쁘게 하고 자극하는지를 보여 준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모든 사려 깊은 사람들의 도구 상자 속에 수학적 사고가 있어야 한다는 것도 보여 준다. 오류와 미신, 어떤 식으로든 틀리는 것을 피하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말이다."
'조지 가모'는 아마 조지 가모브(Gamow)를 가리키는 듯. 수학과 물리학에 대한 대중서가 유명하다. 마티 가드너 역시 다양한 과학 대중서를 펴냈고, 그 가운데 <수학퍼즐>은 국내에서도 스테디셀러다. 엘렌버그가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하게 되었다는 것인데, 동시에 수준도 한단계 올려놓은 듯하다. 수학 대중서를 업그레이드했다고 할까.
거기서 수준을 더 높이면 이언 스튜어트나 로저 펜로즈? 언젠가 적었지만 로저 펜로즈는 내게 '그림의 책'이고, 이언 스튜어트까지가 고급 교양서로 여겨진다. 엘렌버그가 수학열차의 최신 꼬리칸이라고 하니까 일단은 타고 보자.
<과학의 망상>은 제목부터가 도발적인데, 과학 바깥에서가 아니라 안에서 나온 주장이란 점이 눈길을 끈다. '출간 즉시 열광적인 찬사와 논쟁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문제작'이란 카피는 충분히 예상할 만하다. 현대 과학의 주요 전제들을 도그마적 망상으로 공격하고 있으니까.
세상의 근본적인 문제들은 이미 이론적으로 해결되었다고 여기는 과학의 태도를 비판하며 현대 과학의 발목을 잡고 있는 주요 10가지 도그마를 과학적으로 설득력 있게 검증한다. 세계는 물질적이거나 물리적인가? 세계는 생명 없는 물질로 만들어진 기계이며, 자연은 목적이 없는가? 정신은 뇌 안에 얽매여 있으며, 뇌의 작용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가? 초자연적 현상은 환각에 불과한가? 기계적 의학만이 효과가 있는 유일한 치료법인가? 셸드레이크는 유물론과 기계적 과학으로 대변되는 현대 과학의 문제점을 독자 스스로 깨닫고, 보다 자유로운 탐구정신을 갖출 수 있도록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과학사상의 변천과정과 문제들, 주요 사상가들의 과학철학 흐름과 쟁점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셀드레이크는 곧 나올 신간에서도 과학과 정신의 미래를 주제로 마이클 셔머(과학저술가이면서 '회의주의' 운동가)와 대담을 나눈다. <과학의 망상>의 속편 격으로도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그래서 번역되면 좋겠다). 믿음에 대한 회의라면 두 사람이 이견이 없을 텐데, 과학도 '믿음'이라고 하면(가령 세계는 물질적이거나 물리적이라는 믿음) 어떤 대화가 오고갈지 궁금하다. <과학의 망상>에 대해서는 전문가 서평을 찾아봐아겠다...
16. 0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