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서울은 아니다. <데카르트의 사라진 유골>(옥당, 2013)의 저자 러셀 쇼토에 따르면 암스테르담이다. 삼일절 아침에 불경한 생각인지 모르겠지만 책제목을 보자 문득 이곳을 떠나고 싶어졌다. 간다면 암스테르담. '이주의 발견'으로 꼽는다. <세상에서 가장 자유로운 도시, 암스테르담>(책세상, 2016).
![](http://image.aladin.co.kr/product/7492/5/cover150/k39243452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904/16/cover150/038553818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234/3/cover150/8993952515_1.jpg)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암스테르담에 있는 '존애덤스연구소(John Adams Institute)'의 소장으로 일하면서 암스테르담에 깊이 매료된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러셀 쇼토의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암스테르담 곳곳을 누비면서 직접 수집한 역사적인 사건들과 이야기를 경쾌하고 위트 있는 문장으로 전한다. 암스테르담의 전 시장 요프 코헌, 안네 프랑크와 어린 시절 함께 뛰놀았고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끌려가 죽음의 문턱에까지 다녀온 프리다 멘코, 1960년대에 '프로보운동'을 이끌었던 룰 판 다윈 등 역사의 산 증인과 나눈 인터뷰 내용들은 이 도시에서 화려하게 피어난 '자유'와 '진보'의 역사를 생생하게 구체화한다."
어떤 도시를 방문할 때 필참해야 할 책이 있다는 건 다행한 일이다. 나처럼 없던 욕망도 부추기는 책.
![](http://image.aladin.co.kr/product/102/77/cover150/899073970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7/32/cover150/895759163x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6/14/cover150/8960530360_2.jpg)
암스테르담 관련서라면 이언 매큐언의 <암스테르담>과 데이비드 리스의 <암스테르담의 커피 상인> 등도 찾아볼 수 있지만 모두 절판됐다. 암스테르담이 배경인 소설. 남은 건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마로니에북스, 2009) 정도.
![](http://image.aladin.co.kr/product/23/51/cover150/8970131108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216/30/cover150/893100983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013/21/cover150/8936464116_2.jpg)
내게 '물위의 도시' 암스테르담을 떠올리게 하는 가장 강력한 책은 카뮈의 <전락>이다. 이 역시 암스테르담이 배경인 소설. 그리고 아주 오래전에 쓴 자작시('물위의 암스테르담')의 일부.
1
태엽이 풀리는 소리에 잠이 깬다 눈이 감긴다 눈을
뜬다, 눈을 뜨면 간장에 물 탄 듯이 아침은 온다
2
나는 점점 더 나빠져 가는 그이들의 예절을 얘기하고 있는 거야
나는 그런 얘기나 반나절 동안 주절거리고 있는 거야
지금 제대로 듣고 있는 거야, 제대로 듣고 있냐고?
나는 한 나무의 변두리에 주저앉아 눈에 익은 그림자들을 보고 있어
나는 이때쯤 살갗에 모이는 소금들을 부끄러워하지
나는 이젠 더 참을 수 없는 그이들의 예절을 얘기하고 싶어
나는 등나무 꽃 그늘 아래로 옮겨갈 테야
눈물보다도 맑은 물위에 눈꽃들이 떨어지는 걸 보고 싶어
(...)
그래 그이들의 예절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 자꾸 떠나고 싶어지는 이유겠다...
16. 03.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