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먼저 지난달 세상을 떠난 신영복 선생의 <처음처럼>(돌베개, 2016)이 개정판으로 다시 나왔다(이제 보니 초판은 영문판으로도 나왔었다). 알라딘 MD의 소개에 따르면, "신영복 선생의 글과 글씨와 그림을 엮은 잠언집 <처음처럼>이 초판 출간 이후 근 10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첫 글 「처음처럼」과 마지막 글 「석과불식」만 그대로 두고 전체 구성을 대폭 바꾸었으며, 삭제하거나 교체하고 추가한 원고가 많아 2007년 초판에 비해 3분의 1 가량 분량이 늘어났다."
더불어, 소개글도 옮기면, "부제 '신영복의 언약'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신영복이 우리에게 전하는 말[言]과 약속[約]이다. 생전의 한 인터뷰에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 무기수의 옥중 서간이라면, <처음처럼>은 다시 쓰고 싶은 편지라고 하였다." 저자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독자들에게 기념품이 될 만하다.
잡지 <문화과학>의 발행인으로, 그리고 문화이론가/비평가로 뚜렷한 족적을 남긴 강내희 교수가 정년을 맞아 신간 <길의 역사>(문화과학사, 2016)와 선집 <인문학으로 사회변혁을 말하다>(문화과학사, 2016)를 같이 펴냈다. 선집은 저자가 지난 30년 가까운 기간에 생산한 글 19편을 골라 묶은 것이고, 신작은 '물리적인 길이야말로 모든 길의 근원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해서 길의 역사를 살핀" 책이다. '직립 존재의 발자취'가 부제. 이번에 같이 나온 <좌파가 미래를 설계하는 방법>(문화과학사, 2016)은 "강내희 교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여 그와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고 운동했던 후배, 학문 동지, 제자들이 함께 참여해 만든 책이다." '문화과학' 그룹의 관심과 성과를 일별하도록 해준다.
<나 홀로 볼링>(페이퍼로드, 2009)으로 유명한 미국 사회학자 로버트 퍼트넘의 신작도 나왔다. <우리 아이들>(페이퍼로드, 2016). '빈부격차는 어떻게 미래 세대를 파괴하는가'가 번역본의 부제이고, 원서의 부제는 '아메리칸 드림의 위기'다.
"저자 로버트 D. 퍼트넘이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반세기 동안 미국 사회에서 일어난 변화를 추적한 책이다. <이코노미스트> 2015년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저자는 포트클린턴에서 미 전역 방방곳곳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급의 가정과 아이들의 삶을 세심하게 살피는 동시에 최신 사회과학적, 뇌과학적 연구 성과를 토대로 그들이 처한 현실을 엄밀하게 분석한다. 바로 이 시기 동안 누구나 노력한 만큼 성공할 수 있다는 '아메리칸드림'의 신화는 처참하게 무너졌으며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부의 대물림 현상은 심화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현상은 한 사회의 미래라 할 수 있는 아이들의 뇌 발달과 정서적 성장 등 삶 전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우리들에게도 결코 낯설지 않게 느껴진다. 바로 '흙수저'라는 단어의 유행처럼, 우리 사회의 이야기이도 하기 때문이다."
소개대로, 미국 사회를 다룬 책이지만 결코 남 얘기 같지 않다. 한국 역시 현재의 젊은 세대(우리 아이들)가 부모 세대보다 못 사는 최초의 세대가 될 것이라고 하지 않은가. 아메리칸 드림의 위기를 다룬 책으론 <능력주의는 허구다>(사이, 2015)도 있지만 조야하게 편집된 번역서인지라 같이 언급하기가 주저된다. <우리 아이들>는 꽤 신뢰할 만한 번역과 편집이어서 다행스럽다...
16. 0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