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강의가 없는 날이라 한숨 돌리면서 '이달의 읽을 만한 책'을 고른다. 올해는 윤달이어서 29일까지 있군(하루 읽을 거리를 더 고려해야 할까).



1. 문학예술
문학쪽으로는 망설임 없이 세 권을 골랐다. 노르웨이 작가 크나우스고르의 <나의 투쟁>(한길사, 2016) 1권이 지난달 중순에 나왔는데, 이 여섯 권짜리 대작을 읽어내는 것도 올해의 장정 가운데 하나다. 영어본은 3권까지 구입했는데, 번역본도 제때 나오면 좋겠다.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스웨덴 작가 얄마르 쇠데르베리의 <닥터 글라스>(아티초크, 2016)도 궁금증을 자아내는 소설. "북유럽 심리소설의 걸작으로 칭송받는 <닥터 글라스>는 아티초크 쇠데르베리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1905년 스웨덴에서 출간 당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낙태와 안락사를 옹호하고 죽을 권리를 합리화하는 것으로 비친 이 소설은 21세기 들어 수전 손택과 마거릿 애트우드의 극찬과 함께 재조명되기 시작했다."고 소개된다.
토드 헤인즈의 영화 개봉과 함께 찾아온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캐롤>(그책, 2016)도 연휴에 읽어볼 만한 소설. " 범죄 소설의 대가 하이스미스의 자전적 소설이자 유일한 로맨스 소설. 두 여인의 금기된 사랑이라는 파격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1950년대 미국이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사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려 하고, 이윽고 삶을 변화시키는 두 여성의 이야기다." 하이스미스의 솜씨를 믿어보자.



예술분야에서는 반 고흐에 관한 책들을 골랐다. 평전 <화가 반 고흐 이전의 판 호흐>(민음사, 2016)가 출간되어서인데, 거의 1000쪽에 육박하는 결정판이다. "강렬한 색채와 격정적 필치로 서정적 신비를 이룩한 전례 없는 화가 핀센트 판 호흐의 전기"라고 소개되는데, 판 호흐는 반 고흐를 네덜란드 발음대로 읽어준 것인 듯. 우리가 아는 반 고흐는 잊어달라는 주문인가. 국내 저자의 평전으로는 민길호의 <빈센트 반 고흐, 내 영혼의 자서전>(학고재, 2014), 예술인문학자 이동섭의 <반 고흐 인생수업>(아트북스, 2014) 등도 참고할 만하다.



2. 인문학
인문 분야에서는 문학 공부에 관한 책들을 골랐다. 최근에 한번씩 언급한 책들인데, 테리 이글턴의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책읽는수요일, 2016), 모린 코리건의 <그래서 우리는 계속 읽는다>(책세상, 2016), 그리고 패멀라 폴의 <작가의 책>(문학동네, 2016)이다.



역사 분야에서는 전쟁을 주제로 한 책들을 골랐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엮은 <전란으로 읽는 조선>(글항아리, 2016), 이언 부루마의 <0년>(글항아리, 2016), 그리고 <옥스포드판 현대전쟁사>를 옮긴 <근현대 전쟁사>(한울, 2016)다.



3. 사회괴학
사회과학 쪽도 망설임 없이 세 권을 골랐다. 앤드류 포터 <진정성이라는 거짓말>(마티, 2016)과 지그문트 바우만의 신작 <지그문트 바우만, 소비사회와 교육을 말하다>(현암사, 2016), 그리고 고전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의 <자아 연출의 사회학>(현암사, 2016)이다. 특히 <자아 연출의 사회학>은 "심리학, 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을 아우르며 새로운 사회학의 길을 연 어빙 고프먼의 첫 저서. '연극으로서의 사회적 삶'을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섬세하게 분석한 책이다." 김현경의 <사람, 장소, 환대>(문학과지성사, 2015)의 독자라면 필히 읽어봄직하다.



동물과 육식 관련서도 눈에 띄는 책들이 있어서 같이 묶었다. 나란히 읽어봐도 좋겠는데, 우리의 육식문화를 다시 생각해본 티머스 패키릿의 <육식제국>(애플북스, 2016), '현행 식품 체계의 비정상성'을 고발한 마이클 캐롤런의 <값싼 음식의 실제 가격>(열린책들, 2016), 그리고 역사를 움직인 여덟 동물 이야기, 브라이언 페이건의 <위대한 공존>(반니, 2016) 등이다.



4. 과학
과학 분야에서는 '과학혁명과 근대의 탄생'을 부제로 한 에드워드 돌닉의 <뉴턴의 시계>(책과함께, 2016), 칼 세이건의 '후계자', 닐 디그래사 타이슨의 <스페이스 크로니클>(부키, 2016), 그리고 루이스 다트넬의 <지식>(김영사, 2016)을 고른다. <지식>은 "인류 최후 생존자를 위한 리부팅 안내서'가 부제인데, "핵전쟁이나 천재지변으로 인해 대재앙을 맞이한 인류를 전제로,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무엇이 제일 필요한지 살펴보는 동시에 인류의 지식 발전 과정을 독특하고 흥미롭게 정리하고 있다."



5. 책읽기/글쓰기
타니아 슐리의 <글쓰는 여자의 공간>(이봄, 2016)과 함께 존 치버의 책 두 권을 고른다. <존 치버의 일기>와 <존 치버의 편지>(문학동네, 2016)가 나란히 출간되었기 때문. 어떤 일기인가.
"세계문학사를 통틀어도 매우 희귀하고 유의미한 기록으로 꼽히는 <존 치버의 일기>가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한국어판 924쪽, 방대한 분량의 이 일기는 존 치버가 1940년대 말부터 1982년 암으로 세상을 떠나기 불과 며칠 전까지 35년간 써내려간 일기 중 일부이다. 존 치버는 평생 29권의 일기장을 남겼고, 그중 그의 삶을 대표할 만한 20분의 1가량의 일기들만이 선별되어 이 책에 실렸다."
장편 대표작 <왑샷 가문의 연대기>(민음사, 2008)는 물론 단편선집에 이어 일기와 편지까지 출간되었으니 이제 '한국어 치버'는 거의 완벽하다. 오래 전에 읽은 단편집의 기억을 떠올리며 다시 읽어봐야겠다...
16. 02. 05.



P.S. '이달의 읽을 만한 고전'으로는 율곡 이이의 책들을 고른다. 조선 정치의 현장에서 율곡이 쓴 일기를 모은 <율곡의 경연일기>(너머북스, 2016)와 '동호문답'과 '만언봉사' 두 편의 상소를 옮긴 <직간>(홍익출판사, 2016), 학문하는 자세에 대해 적은 <격몽요결>(민음사, 2015) 새 번역본 등이 최근에 출간되어서다. 난세를 살았던 조선 정치인의 생각 이모저모를 오늘의 거울로 삼아 읽어봐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