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으로 조지 패커의 <미국, 파티는 끝났다>(글항아리, 2015)를 고른다. 지난달에 나왔지만 주문한 원서가 아직 배송되지 않아서 나로선 독서를 미뤄두고 있는 책이다. 물론 600쪽이 넘는 분량도 쉽게 엄두를 내지 못하게 하는 이유다. 하지만 그럼에도 '걸작 논픽션' 시리즈에 값하는 걸작으로 보인다(상대적으로 이런 논픽션이 우리에겐 왜 없는지 아쉽다).

 

 

저자는 미국의 저널리스트로 국내엔 조지 오웰의 평론집 <모든 예술은 프로파간다다>(이론과실천, 2013)의 편자로 처음 소개되었다. 그러니 <미국, 파티는 끝났다>가 실상은 첫 책이다. '고삐 풀린 불평등으로 쇠락해가는 미국의 이면사'가 부제. 논픽션이지만 여느 논픽션과 다른 점은 다큐멘터리 소설 같은 형식 때문이다. 실제 인물들과의 인터뷰와 여행에 바탕을 두고 있기에 논픽션이지만, 마치 흥미로운 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는가.

"1978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의 다양한 시민들은 그야말로 '몰락했다.' 저자는 미국 땅에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의 역정을 소설처럼 재구성해 드러냄으로써 이 부정할 수 없는 몰락의 과정을 보여준다. 보수적인 남부 시골에서 담배 농사를 포기하고 바이오디젤이라는 신경제의 전도사가 되는 딘 프라이스, 마약과 마피아가 활개치는 중서부 오하이오의 퇴락한 철강도시의 공장노동자에서 조직운동가로 변모해 생존을 도모하는 태미 토머스, 월가의 억대 연봉을 마다하고 워싱턴 정계의 막후 공작에 매진하다 좌절하는 제프 코너턴, 실리콘밸리에서 사업을 일으켜 거액을 모았으나 거품 붕괴로 파국을 맞은 피터 틸 등등. 이들의 삶을 섬세하게 드러내면서 저자는 지난 30년간의 미국 역사를 극단적인 빈부 격차와 금융업계의 규범 없는 이익 추구 그리고 정치권을 쥐락펴락하는 월가의 돈 앞에 저항운동조차 부서지기 일쑤인 사회가 '뉴아메리카의 이면'이라고 진단한다."

 

"슬픔과, 분노와, 측은지심이 윙윙거린다. 저자는 존 스타인벡 소설에 맞먹는 논픽션 걸작을 선물했다."고 뉴욕타임스는 평했는데, 저자의 고백으론 더스패서스의 삼부작 <미국>(1938)을 모델로 삼았다고 한다(펭귄판으로 1184쪽의 대작이다). 국내엔 <맨해튼 트랜스퍼>(문학동네, 2012)만 소개돼 있어서 아쉬운데, <미국>도 번역되면 좋겠다.

 

 

미국의 실패와 몰락을 다룬 책은 드물지 않다. 심지어 톰 하트만의 <2016 미국 몰락>(21세기북스, 2014)은 올해를 몰락의 해로 특정하기도 했다. 물론 그의 관심은 여러 몰락의 징후들이 말해주는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놓여 있지만, 실상에 대한 직시가 선결조건이다. 과연 우리, 헬조선국은 사정이 다른지 묻게 된다. '천조국'도 파티가 끝났다면 더 말할 것도 없긴 하지만...

 

16. 01. 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