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포털에서 읽은 기사를 옮겨온다(제목만 보고 다시 찾으려고 했을 때 이미 포털 메인에서는 사라졌다). 미국의 한 여성학 교수가 기고문을 통해서 한일 간의 위안부 합의를 보도한 뉴욕타임스의 기사 내용 오류를 지적했다는 게 골자다. 핵심은 일본군에 종군 위안부로 끌려간 한국 여성들이 실상은 상당수가 13-14세의 소녀들이었다는 것이다. "일본의 행위는 전쟁범죄일뿐만 아니라 어린이에 대한 인신매매와 성범죄였다." 이런 사실을 일본 교과서에 적시하고 서구 언론들이 보도하지 않는 한 '정의'는 없다는 게 필자의 주장이다. 전폭 공감할 수밖에 없다. 더불어 한국 정부가 얼마나 모자란 짓을 저지른 것인지 다시금 개탄하게 된다(성의 없는 사과와 100억 보상금 따위에 눈이 멀었단 말인가?).

델라웨어 대학 마가렛 D 스테츠 교수는 1일 뉴욕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뉴욕타임스가 구랍 29일 보도한 기사에서 일본 군대에 '한국 여성들'이 끌려갔다고 했지만 피해자는 대부분 미성년자였으며, 이같은 성범죄가 일본 교과서를 통해 교육되어야 정의가 바로 세워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테츠 교수는 "뉴욕타임스는 이날 기사에서 2차대전때 일본 군대 매음굴에 속여서 혹은 강제로 끌고 간 '한국여성들'에 관한 분쟁을 타결지었다고 했다"며서 "생존자들이 증언했듯이 잔혹한 성노예 시스템의 대상은 어른들이 아니라 13세, 14세의 소녀들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짐짝처럼 배에 실려 아시아 각지의 전쟁터로 끌려가서 매일같이 강간을 당한 소녀들은 초경조차 치르지 않은 어린 나이였다"고 덧붙였다.

스테츠 교수는 "일본의 행위는 전쟁범죄일뿐만 아니라 어린이에 대한 인신매매와 성범죄였다. 이러한 사실들이 일본의 교과서에 기술되고 서구의 언론들이 보도하지 않는 한 희생자를 위한 진정한 정의는 이뤄지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마가렛 스테츠 교수는 하버드대 박사출신으로 버지니아대학과 조지타운대학을 거쳐 2002년부터 델라에워 대학 영어학과에서 주로 여성학을 가르치고 있다. '2차대전 위안부의 유산'(2001) 공동저자이기도 하다.(뉴시스)

 

찾아보니 <2차대전 위안부의 유산>은 아직 절판되지 않았다. 한국계 교수와의 공저다. 이런 책이 더 널리 알려져야 할 듯싶은데, 국내에도 아직 소개되지 않았다. 일본의 양식 있는 학자나 지식인의 책은 국내에 몇 권 소개돼 있다. 이시카와 이쓰코의 <일본군 '위안부'가 된 소녀들>(삼천리, 2014), 우에노 지즈코의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현실문화, 2014) 등이다. 두 권 모두 오랜만에 나온 개정판들이다(이를 넘어서는 책이 아직 없다는 뜻으로도 이해된다). 국내 학자의 책은 지난해 논란이 되었던 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뿌리와이파리, 2015)를 제외하면 눈에 띄는 책이 드물다.

 

 

<그들은 왜 일본군 '위안부'를 공격하는가>(휴머니스트, 2014)가 "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쟁점들을 정리하고 현주소를 날카롭게 분석, 비판"한 책이다. 일본의 시민단체 '전쟁과 여성 대상 폭력에 반대하는 연구행동센터'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함께 엮었다. 주로 여성학자와 사회운동가들이 위안부 문제에 적극적인데, 스즈키 유코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젠더>(나남, 2010)도 그런 시야에서 문제를 다루고 있다.

1995년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일본 정부가 발족한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이 실제는 '국가에 의한 성폭력'이라는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은폐하기 위한 꼼수임을 치밀하게 추적한 책이다. 저자는 일본군 위안부 범죄를 부인하는 우파 정치가들과 자유주의사관 학자들, 특히 국민기금 관련자들에 대해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고 비판한다. 또한 국민기금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가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국민기금이 추진했던 역사청산 과정과 실천사례를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요컨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더 정확히는 일본군 성노예 문제를 다루는 일본 정부의 입장이나 태도는 결코 신뢰할 만하지 않다. 불행히도 한국 정부 역시 마찬가지다...

 

16. 01. 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