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 대만학자 뤼시아오의 <진시황>(지식갤러리, 2015)이 출간된 김에 진시황에 관한 책 몇 권을 모아서 읽어볼까 하던 참인데, 연초에 짐을 하나 더 얹게 되었다. 셰시장의 <량치차오 평전>(글항아리, 2015)이라는 무지막지한 책이 또 하나 출간되어서다. 진초부터 청말까지, 나름 아귀가 맞기는 하지만, 과연 가능한 독서 분량인지 생각해봐야겠다.

 

 

'진시황 프로젝트'로 염두에 둔 책은 <진시황> 외에 '이중톈의 중국사' 시리즈로 나온 <진시황의 천하>(글항아리, 2015)가 있다. 적당한 분량이라는 게 두 책의 강점이다. 장펀톈의 <진시황 평전>(글항아리, 2011)을 더할 수 있지만 1150쪽에 이르는 분량이 역시나 걸림돌. 책을 구입해놓았는지도 헷갈리고 있어서 보류중이다.

 

 

장펀톈의 평전을 제쳐놓으면 왕리췬의 <진시황 강의>(김영사, 2013)도 옵션이 될 수 있다. 중국사 공부의 분위기를 띄우려면 이번에 나온 젠보짠의 <중국사 강요>(중앙북스, 2015) 두 권에도 욕심을 내볼 만하다.  

 

 

 

<량치차오 평전>은 1300쪽이니까 <진시황 평전>을 뺨 치는 책이다. "역사의 전진을 추동한 '신민新民' 량치차오 사후 출간된 전기 가운데 가장 객관적이고 가장 상세하며 가장 방대한 평전"이란다. 물론 '량치차오와 그의 시대'를 읽는다는 점에서 분량은 부차적일 수 있다.

 

량치차오(양계초) 평전이 처음 소개되는 건 아니다. 서강의 <양계초>(이끌리오, 2008)도 720쪽 분량이다. "혁명가이자 사상가, 문학가, 대실천가, 헌정의 혼 등으로 불리며, 19세기와 20세기에 걸친 전 생애를 통해 중국사회의 변혁을 위해 노심초사했던 인물인 양계초의 삶과 사상을 담았다. 총 26장으로 구성했으며, 번역에만 5년이 걸렸고, 주석과 중국근대인물 색인까지 꼼꼼하게 첨부했다." 이 또한 읽어볼 만한 평전이고 소장하고 있는 책이건만 여지껏 시간을 내기 어려웠다(지금은 책부터 찾아야 할 형편이고). 그의 대표작 <신민설>(서울대출판문화원, 2015)도 마찬가지다.

 

 

한때 관심을 갖고 관련서를 모은 적이 있는데, 주로 '중국 근대 지식인'이 관심 주제였다. 이혜경의 <량치차오: 문명과 유학에 얽힌 애증의 서사>(태학사, 2007)와 조경란의 <현대 중국 지식인 지도>(글항아리, 2013), <20세기 중국 지식의 탄생>(책세상, 2015) 등이 그래서 구비한 책들이다.

 

 

량치차오는 개화기 조선의 지식인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친지라 그 또한 관심사다. <리홍장 평전>(프리스마, 2013)이나 <이태리 건국 삼걸전>(지식의풍경, 2001) 등은 구비해놓았는데, <량치차오, 조선의 망국을 기록하다>(글항아리, 2014)는 기억에 없다. 지금이 흡사 120년 전 동아시아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진단이 허투루 들리지만은 않는지라 이 또한 읽어볼 만하다...

 

16. 01. 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