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다 (2015년판) - 김영하와 함께하는 여섯 날의 문학 탐사 ㅣ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김영하의 <읽다>는 김영하판 <소설과 소설가>(오르한 파묵) 혹은 <소설은 왜 읽는가>(김현)로 읽을 수 있다. 마침 미아 와시코브스카 주연의 <마담 보바리>도 다음주에 개봉한다. 영화 관객들이 이 참에 소설로도 읽어봤으면 싶다. 나대로의 <마담 보바리> 읽기는 <아주 사적인 독서>에 수록돼 있다...
영화는 상영 도중에 일어나서 나가려면 눈치가 보이지만 책은 혼자 읽는 것이어서 잠깐 책장을 덮는다고 아무 문제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책을 읽는 매 순간, 우리는 결정을 내리고 있는 것입니다. 조금 더 읽겠다고.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조금만 더. 그렇게 해서 한 권의 책을 끝내게 됩니다. 완독이라는 것은 실로 대단한 일입니다. 그만 읽고 싶다는 유혹을 수없이 이겨내야만 하니까요. -82쪽
플로베르는 분명히 말했습니다. `거의 아무런 주제도 없는 아니 적어도 주제가 거의 눈에 뜨이지 않는` 소설을 쓰겠다고요. 중심부에는 그 무엇이라도 좋은 것입니다. 플로베르는 중심부가 아니라 독자가 중심부에 다다르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보았던 것입니다. -99쪽
그러므로 좋은 독서란 한 편의 소설에 대해 모든 것을 알아내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작가가 만들어놓은 정신의 미로에서 기분좋게 헤매는 경험입니다. -103쪽
저는 인간의 내면이란 크레페케이크 같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일상이라는 무미건조한 세계 위에 독서와 같은 정신적 경험들이 차곡차곡 겹을 이루며 쌓이면서 개개인마다 고유한 내면을 만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104쪽
현실의 우주가 빛나는 별과 행성, 블랙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크레페케이크를 닮은 우리의 작은 우주는 우리가 읽은 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것들이 조용히 우리 안에서 빛날 때, 우리는 인간을 데이터로 환원하는 세계와 맞설 존엄성과 힘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105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