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분야의 책 두 권을 '이주의 발견'으로 고른다. 글렌 그린월드 등의 <감시국가>(모던타임스, 2015)와 요시다 도오루의 <정치는 감정에 따라 움직인다>(바다출판사, 2015)다. '스노든 시리즈'의 두번째 책으로 나온 <감시국가>는 '국가감시에 관한 우리 시대 정상급 논객들의 라이브 토론 배틀'이 부제다. 어떤 책인가.

 

미 국가안보국의 무차별 감시에 관한 세계 정상급 논객들의 멍크 디베이트를 엮었다. 멍크 디베이트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연 2회 각 분야의 최고 권위자나 전문가가 특정 주제를 놓고 벌이는 토론회다. 2인 1조를 이룬 패널들이 일종의 토론 배틀을 벌인다. 토니 블레어, 헨리 키신저, 니얼 퍼거슨, 폴 크루그먼 등 최고의 권위자와 석학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어 지적 쾌감을 줄뿐 아니라, 토론 전후로 찬반 투표를 해서 얼마나 많은 사람의 생각이 바뀌는지, 어느 팀이 승리했는지 보는 재미도 준다. 

국가의 무차별 감시는 물론 미국의 한정된 얘기가 아니다. 대테러 방비를 명분으로 국정원의 권한을 강화하려는 '테러방지법'이 국회에 계류중이기 때문이다. 법안이 통과된다면 더 강화된 감시와 무차별 사찰은 손바닥 보듯이 예견되는 상황이다. 무엇이 문제인지 학습하기 위해서라도 일독해봄직한 책이다.

 

 

<정치는 감정에 따라 움직인다>는 '이성의 정치를 뒤집는 감정의 정치학'이 부제다. 감정사회학에 견주어 감정정치학이라고 줄여 부를 수 있겠다.

저자는 실제 정치를 움직이는 것이 이성보다는 감정임을 보여 준다. 그동안 간과했던 정치가 지닌 비합리성 혹은 사람들 사이의 관계성 때문에 생겨나는 정치의 측면을 밝힌다. 그렇게 정치를 파악하지 않으면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정치의 측면을 밝히기 위해 저자는 여러 학자의 이론과 사례, 한나 아렌트를 비롯한 많은 사상가의 담론 사이를 종횡무진 누빈다.

사실 그동안 '간과했다'는 사실 자체가 미스터리일 정도로 정치는 이성이 아닌 감정에 좌우돼왔다. 거기에 덧붙이자면 이익(돈)이 있겠다. 감정에 따라 움직이는 정치를 어떻게 해야 할지, 감정이 더 나은 정치를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한 독자라면 역시 손에 들어봄직하다...

 

15. 11. 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