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철학자 알랭 바디우의 책이 또 한권 번역되었다. <변화의 주체>(논밭출판사, 2015). 제목이 생소해서 찾아보니 원저는 유럽대학원 강의록(영어판)으로 2013년에 나온 책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7054/87/cover150/899637894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509/39/cover150/098851702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888/89/cover150/8996378933_1.jpg)
바디우는 2010~12년 사이에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 ‘세계를 바꾼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주제로 일련의 강의를 하였고, 같은 주제를 가지고 2012년 여름에 스위스의 사스페(Saas-Fee)에 자리한 유럽대학원(European Graduate School)에서 영어로 강의하였다. <변화의 주체>는 바로 유럽대학원에서 2012년 8월 8일~13일에 걸쳐 이루어진 일련의 강의에 대한 녹취록이다.
강의록인 만큼 분량이 많지는 않다. 원저는 142쪽 분량. 하지만 번역본은 395쪽으로 두 배가 훌쩍 넘는다. 이유는? 역자의 이전 번역작인 <모호한 재앙에 대하여>(논밭출판사, 2013)에 대해 언급할 때 지적한 바 있는데, '역자의 번역노트' 때문이다. 목차를 보니 295-395쪽까지, 그러니까 100쪽이 이 번역노트로 채워져 있다. 통상적이진 않다. 바디우 번역서인지 역자의 저서인지 헷갈리기 때문이다(모호한 번역서?). 역자는 "알랭 바디우의 <모호한 재앙에 대하여>와 안토니오 네그리의 <욥의 노동>등을 번역하였다. 천안에서 한우를 키우며 농사를 짓고 있다"고만 소개된다. <욥의 노동>도 구입했는데, 현재는 절판된 상태다. 한우 농사를 지으며 철학서를 번역하는 분이 있다는 건 신선하지만 깔끔하게 번역서만 내놓았다면 더 좋았겠다. 과도한 분량의 역자노트를 매번 붙이는 것은 식상하다...
15.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