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과학서로 <아인슈타인이 말합니다>(에이도스, 2015)를 고른다. '세기의 천재 아인슈타인이 남긴 말'이 부제. "1970년대부터 프린스턴 대학에서 '아인슈타인 문서집' 프로젝트를 도맡아온 아인슈타인 전문가가 아인슈타인의 삶과 생각을 오롯이 담아낸 명언집의 결정판"으로 소개된다. 프리먼 다이슨은 서문에서 "이 책은 아인슈타인의 본모습을 보여준다. 초인적인 천재가 아니라 인간적인 천재인 그를, 인간이기 때문에 더더욱 위대한 그를."이라고 적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6957/64/cover150/k68243488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636/18/cover150/0691160147_1.jpg)
아인슈타인의 어록 혹은 명언록이 처음 출간된 건 아니지만 결정판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삶과 사상을 오롯이 읽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150/34/cover150/8934950641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802/3/cover150/899775102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687/36/cover150/8992307756_1.jpg)
아인슈타인의 저술로는 <상대성 이론>과 <나의 세계관> 등이 대표적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7/10/cover150/893783019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704/87/cover150/899211455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8/0/cover150/0471193623_1.jpg)
특이한 것은 결정판 평전이 부재하다는 것. 데니스 브라이언의 <아인슈타인 평전>(북폴리오, 2004)이 절판되었기 때문이다. 원저는 1996년에 나왔는데, 이후에 더 좋은 전기가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이 세기의 과학자에 대한 평전을 읽을 수 없다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특히나 젊은 세대 독자들에게는. <아인슈타인이 말합니다>와 짝이 될 만한 책이 나오면 좋겠다...
15.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