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으로 영국 철학자 사이먼 크리칠리의 <믿음 없는 믿음의 정치>(이후, 2015)를 고른다. 크리칠리는 데리다와 레비나스에 관한 연구서로 명성을 얻은 철학자인데, 정치철학 쪽으로도 문제적 저작을 여럿 내놓고 있다 한다. 국내에는 <죽은 철학자들의 서>라는 주변적인 책만이 소개됐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6933/91/cover150/896157081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682/11/cover150/178168168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1/60/cover150/8990429838_1.jpg)
정치와 종교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탐구하여 오늘날 정치적 교착상태에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는 책. 저자 사이먼 크리츨리는 세계가 사실상 세속주의가 아니라 신성화의 탈바꿈으로 더 잘 이해될 수 있고, 바로 자유민주주의라는 또 다른 신이 등장해 종교전쟁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한다. 정치가 모종의 종교적 차원 없이 실행될 수 없다는 단언 아래 믿음을 새롭게 정의하면서, 진정한 정치를 실행하려면 믿음을 다시 사유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번역본의 부제는 '정치와 종교에 실망한 이들을 위한 삶의 철학'이다. '헬조선'에 절망하는 이들에게도 '돌파구'가 되어줄지 모르겠다...
15. 11. 05.
![](http://image.aladin.co.kr/product/3148/45/cover150/074868931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985/58/cover150/030795048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628/12/cover150/1781680175_1.jpg)
P.S. 크리칠리의 다른 저작으론 주저인 <해체의 윤리> 외 <햄릿 독트린><무한 요구> 등도 눈길을 끈다. <햄릿 독트린>은 바로 구입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