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틈나는 대로 '이주의 과학'(책)을 꼽기로 한다. 이번주 관심도서는 네사 캐리의 <유전자는 네가 한 일을 알고 있다>(해나무, 2015)다. 원제는 '후생유전학 혁명'이고 '현대 생물학을 뒤흔든 후성유전학 혁명'이란 번역본 부제에 실렸다. 후성유전학에 대해 궁금해 하던 차였는데, 때마침 적당한 책이 나와 주었다.  

 

DNA의 운명이 '사용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소개해주는 후성유전학 입문서. DNA의 염기 서열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들을 최신 후성유전학 연구 결과에 기대어 상세하게 설명해준다. 후성유전학이란, 환경에 따라 유전자가 발현되거나 발현되지 않거나 하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유전학의 하위학문이다.

더불어 관심을 갖는 건 유전자-문화의 공진화론인데, 이와 관련해서는 로버트 보이드와 피터 리처슨의 <유전자만이 아니다>(이음, 2009)가 소개돼 있다. 무엇이 공진화론인가.

이 책은 유전자-문화 공진화론(또는 이중 유전이론)의 고전으로 손꼽히며, 다양하고 구체적인 사례와 명쾌한 해설로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을 설명함으로써 우리의 지식의 지평을 넓혀준다. 그렇다면 유전자-인간 공진화론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 간단하게 말한다면 인간은 유전자로 이루어지고 문화는 인간의 손으로 만들어지며 유전자는 문화적 변형에 따라 변형된다는 이론이다.

후성유전학과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은 뭔가 통하는 발상으로 보이는데, 구체적인 어떤 관계인지 궁금하다. 구입만 해놓은 <유전자만이 아니다>도 어디에 꽂혀 있는지 찾아봐야겠다...

 

15. 09. 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