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책'을 골라놓는다. 타이틀은 임동근의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반비, 2015)에서 가져왔다. 팟캐스트 '김종배의 사사로운 토크'의 '도시정치학' 코너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서울의 삶을 만들어낸 권력, 자본, 제도, 그리고 욕망들'이 부제.
![](http://image.aladin.co.kr/product/5686/88/cover150/898371725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318/52/cover150/8967352298_1.jpg)
서울이 지난 반세기 동안 메트로폴리스로 성장하기까지 벌어진 일들과 이에 뒤따르는 많은 의문들을 다루고 있다. "가령 동사무소라는 독특한 한국적 행정기관은 왜 생겼으며 어떤 기능을 했는지, 그린벨트는 왜 만들었고 어떤 기능을 했고 어떤 부작용을 낳았는지, 아파트는 어떻게 전 국민의 로망이 되었으며 또 어떻게 지배적인 주거 양식이 되었는지, 다세대·다가구 주택은 왜 그렇게 많아졌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왜 이렇게 외면당하고 있는지, 왜 마포가 아니라 테헤란로가 대표적인 오피스 지구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 등등 의문점들에 대한 흥미로운 답이 펼쳐진다."
두번째 책은 서울학연구소에서 엮은 <한양의 탄생>(글항아리, 2015)이다. '의정부에서 도화서까지 관청으로 읽는 오백년 조선사'가 부제. "이 책은 중심 정부기구였던 의정부와 육조를 비롯해 인사권을 행사했던 비변사나 제례를 담당했던 봉상시, 천문 관측을 주 업무로 삼았던 관상감 등 한양 관청의 역할과 역사를 세밀하게 들여다본다. 또 그곳에 소속되어 일했던 공무원들의 조직도 및 품계 등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다루기도 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6382/11/cover150/k89243363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398/24/cover150/k362433843_1.jpg)
세번째 책은 전진성의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천년의상상, 2015)이다. 세 도시가 어떤 연관이 있을까 싶은데, 바로 그게 착안점이다. "하나로 엮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세 도시 베를린, 도쿄, 서울을 다룬 책이다. 베를린과 도쿄는 '위로부터의 근대화'를 이룩한 후발 제국의 수도라는 공통점을 지닌 데 반해, 도쿄와 서울은 오랜 역사적 인연을 지닌 동일문화권 안의 제국-식민지 관계였다. 별 관련이 없어 보이는 서울과 베를린이 하나로 엮일 수 있는 것은 제국 일본의 수도였던 도쿄를 매개로 하나의 독특한 지리적 상상이 시간과 공간의 장벽을 뛰어넘어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곧 베를린이 아테네를 모델로 건설됐고, 도쿄는 또 베를린을 모델로, 서울(경성)은 도쿄를 모델로 함으로써 세 도시가 엮이게 되는 것. 이름하여 '근대수도의 계보학'이다. 세 도시의 역사뿐 아니라 근대도시 건축사와 문화사에 대한 흥미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네번째는 빌프리트 봄머트의 <빵과 벽돌>(알마, 2015)이다. 이번엔 '미래 도시'가 주제. 특히 '미래 도시는 무엇을 먹고 사는가?'란 문제를 주로 다룬다. "저자 빌프리트 봄머트는 21세기의 자급자족은 인류가 원해서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강제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것은 21세기 말 아마도 120억 명의 인구 중 90억 명이 도시에 사는 상황에서, 즉 대다수가 빈곤에 시달릴 세계에서 과연 살아남을 수 있는가 하는 치열한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도시농업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과연 식량위기에 직면한 세계를 구원할 수 있을지, 그렇다면 그 길을 선도하는 사람은 누구인지, 학계와 정계는 이 구상을 지원해주는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5686/90/cover150/896263137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495/30/cover150/8967351895_1.jpg)
끝으로 다섯번째 책은 로널드 핀들레이 등의 <권력과 부>(에코리브르, 2015)다. '1000년 이후 무역을 통해 본 세계정치경제사'가 부제. "1000년 이후 무역을 통해 본 세계정치경제사. 방대한 시공간을 다루면서도 비교적 골고루 조명을 비추어 균형을 잃지 않은 책이다. 이 책의 가장 큰 목적은 지역 간 무역 패턴과 발달 과정, 장기적 측면에서 세계 경제와 정치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궁극적으로 무역의 패턴과 구조, 시대에 따른 지정학적 전개 과정, 과거 수천 년 동안의 패권 변화에 집중하는 것이다." 비슷한 성격의 책으로는 김동욱의 <세계사 속 경제사>(글항아리, 2015)도 있었다. "돈, 성, 권력, 전쟁, 문화로 읽는 3000년 경제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