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을 먹고 잠시 머리를 식히기 위해 하루 종일 읽던 책 대신에 집어든 게 그레고어 아이젠하우어의 <내 인생의 결산 보고서>(책세상, 2015)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 가장 짧은 대답'이라는 부제까지 고려해도 어떤 책인지 구체적으로 가늠이 되진 않는다. 소개를 보니 저자가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는데, '추모기사 작가'라는 점(독일에서는 업종이 전문화돼 있나 보다). 그리고 그 경력을 살려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 열 가지'를 추린 게 이 책이다. '인생 결산용 질문 열 가지'가 컨셉이라고 할까. 저자의 제안은 열 가지 질문에 스스로 답하고 '내 인생의 추도사' 곧 셀프 추도사를 써보라는 것. 열 가지 질문은 이렇다.  

 

첫 번째 질문_ 스스로 생각할 것인가, 남에게 시킬 것인가?
두 번째 질문_ 왜 사는가?
세 번째 질문_ 나는 행복한가?
네 번째 질문_ 나는 아름다운가?
다섯 번째 질문_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가?
여섯 번째 질문_ 무엇을 해야 하나?
일곱 번째 질문_ 누구를 위해 해야 하나?
여덟 번째 질문_ 신은 있는가?
아홉 번째 질문_ 내 수호천사는 누구인가?
열 번째 질문_ 죽어서도 살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다 답하려고만 해도 몇 년은 더 살아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그래서 저자가 '가장 짧은 대답'이란 조건을 내걸었나 보다(저자는 각 질문당 30분씩만 생각하라고 권고한다. '내 인생의 추도사'도 세 페이지만 써야 한다고. 아무도 그 이상은 읽어주지 않아서일까?). 

 

책을 오래 붙들고 있을 수 없어서, 첫번째 질문만 컨닝을 했다. '스스로 생각할 것인가, 남에게 시킬 것인가?' 사실 이건 그 자체로 첫 질문이어야 한다.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각'이란 걸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 생각의 요건에 관한 질문은 세 가지다. 1)얼마나 길게 생각해야 할까? 2)어디서 생각해야 할까? 3) 무슨 옷을 입고 어떤 자세로 생각해야 할까? 요약하면, 생각의 분량, 장소, 자세를 정해두라는 것. 그렇게 해서 셀프 추도사를 쓰기 위해 열 가지 질문에 답하는 '30분 철학자'가 돼 보라는 것인 듯하다.

 

 

흠, 당장 실행에 옮기고 싶은 생각은 들지 않지만, 적당한 때 적당한 장소에서 시도해봄직하다는 생각은 든다. 생각도 기력이 있을 때 가능하므로, 정신이 온전할 때 말이다. 찾아보니 저자는 1960년생이고, 원저는 작년에 나왔다. 나도 50대 중반에 가서 같은 질문을 던지고 답해볼까. 그래봐야 아주 먼 미래는 아니군...

 

15. 04. 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