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를 다룬 국내 학자들의 책 두 권을 관심도서로 같이 묶는다. 먼저 정병준의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돌베개, 2015). '역사에 휩쓸려간 비극의 경계인'이 부제인데, 그 경계인이 물론 제목의 현앨리스이다.
일제하 중요 독립운동 인사였던 현순 목사의 맏딸로 제1호 하와이 출생 한국인이자 박헌영, 김단야 등과 독립운동, 재미한인 진보운동에 헌신했던 현앨리스의 비극적 삶과 그 시대를 조망한 책으로, 현앨리스의 개인사에서 출발해 현앨리스와 아들 정웰링턴의 가족사를 거쳐 4세대에 걸친 현씨 집안의 근대사를 다룬다.
'박헌영의 애인'이나 '미국 스파이'이라는 추정만 있었던 한 여인의 삶을 추적하면서 저자는 그가 살았던 시대의 실체적 진실을 복원하려고 한다. '연구'의 성격이 강한 책인데, 문학적 형식으로 푼 책도 나옴직하다는 생각이 든다(어쩌면 영화로도 만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 싶고).
5인의 국내 학자가 공저한 <1970, 박정희 모더니즘>(천년의상상, 2015)는 공저자이기도 한 천정환, 권보드래 교수의 <1960년을 묻다>(천년의상상, 2012)의 속편으로 읽힌다. '유신에서 선데이서울까지'가 부제. "이 책은 박정희부터 이름 없는 장삼이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의 말과 삶을 통해 유신 시대에 대한 기존 해석이 그동안 조명하지 않았거나 소홀히 다뤘던 부분에 주목하여 문화와 문학, 그리고 역사와 정치학의 사유로 1970년대를 입체적으로 재조명하고 있다."
'근대화' 같은 용어 대신에 '모더니즘'을 키워드로 삼은 것이 눈에 띈다(첫 장의 제목이 '유신의 모더니즘'이다). 유신의 재구성, 유신의 재조명이라고 할 수 잇을까. 저자들의 의도는 이렇게 요약된다.
보수에게 유신 시대(1972-1979년)는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한 영광의 시기다. 반면 진보에게는 1948년 제헌헌법이 규정한 민주주의가 압살당한 오욕의 시기다. 두 입장은 1970년대 한국 사회가 경험한 근대화를 긍정하느냐 부정하느냐의 차이가 있지만, 모두 정치·경제 영역에 중심을 두고 유신 시대를 파악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1970년대의 일상을 구성했던 구체적인 장면과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어 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그러니까 문화와 일상에 초점을 맞추어서 유신 시대를 다시 바라보고자 한다는 것. 그런 의도에 흥미를 느낀다면, 일독해볼 만하다...
15. 04.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