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대한 책 두 권을 '이주의 발견'으로 고른다. 음식을 가려먹어야 하게 된 이후로는 평소 중요하지 않게 생각한 것들이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데, 음식책 역시 그렇다(욕망이란 금지된 것에 대한 욕망이어서 그렇겠다).

 

 

레이첼 조던의 <탐식의 시대>(다른세상, 2015)는 음식과 요리의 문명사로 '요리는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꾸었는가'가 부제. 원제는 <요리와 제국>(2013)이다. 식문화사를 통째로 다룬 책은 드물지 않았던가 싶다.

<탐식의 시대>는 출간 즉시 언론과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그 해에 요리계의 오스카상이라 불리는 IACP 어워드를 수상했다. 여기에는 5,000년의 식문화사를 한 권에 담아낸 저자의 공력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하지만 그만큼 중요한 것은 저자가 단순히 과거의 문명사를 조망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을 진단하고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요리계'란 표현도 눈길을 끄는데, 아무튼 요리책의 기준을 한단계 올려줄 만하다.

 

 

그리고 댄 주래프스키의 <음식의 언어>(어크로스, 2015).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인문학'을 표방한다. 저자는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교양 강의 ‘음식의 언어’를 가르치는 스탠퍼드 대학의 언어학 교수이자 계량언어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라고 소개된다. "요리와 어원의 역사에 대한 다채롭고 진지한 연구로 엄밀성과 읽는 재미를 겸비한 훌륭한 책"(뉴욕타임스)이란 평.

TV도 SNS도 푸드포르노로 넘쳐나는 음식의 시대에, 언어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자 스탠퍼드 대학의 괴짜 언어학 교수 댄 주래프스키는 음식을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해 우리의 허기를 품격 있게 채워준다. 그는 고대의 레시피에서 과자 포장지 홍보 문구까지 다양한 음식의 언어들을 통해 케첩, 칠면조, 토스트, 밀가루, 아이스크림이 품고 있는 수천 년 인류 문명의 진보와 동서양의 극적인 만남의 순간들을 발굴해내고, 메뉴판에 담긴 레스토랑의 영업 전략, 앙트레의 용법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계급, 포테이토칩이나 아이스크림 마케팅이 겨냥하는 우리의 취향, 맛집 리뷰에서 호평과 악평의 차이점을 분석하며 인간의 진화와 심리, 행동을 해독하는 은밀한 힌트를 던진다.

흠, 음식의 즐거움을 음식책의 즐거움으로 대체하려 한다면, 가장 유력해 보이는 책이로군...

 

15. 03. 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