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으로 다시 나왔으니 '오래된 새책'으로 분류할 만한 책은 <세계 영화 대사전>(미메시스, 2015)이다(영화책이라 '로쟈의 영화'로 분류한다). 제프리 노웰 스미스가 엮은 이 책은 애초에 <옥스포드 세계 영화사>(열린책들, 2005/2006)로 나왔던 책. 원제도 그러한데, '영화사'가 어떤 이유에서 '영화 대사전'이 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온갖 영화를 다 거명하기에 '사전'으로도 부름직하다는 뜻이겠다.

 

세계 영화의 역사를 백과사전 형식으로 기록한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의 2015년 신판으로, 1895년 무성영화 시절부터 1995년 현대 영화까지 100년의 방대한 영화사를 기록하였다. 각 장마다 그 시기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작품, 감독, 배우들의 모습뿐만 아니라 필름, 사운드, 스크린, 렌즈, 카메라 등 기술적 요소들의 발전 과정도 함께 짚고 있다.

오해의 소지가 있어 확인해봤지만, '2015년 신판'이란 건 번역본의 경우가 그렇다는 것이지 신판을 옮겼다는 의미는 아니다. 원저는 여전히 1996년판이다(인터넷에 뜨는 걸로는 1999년판이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원저가 1995년 영화탄생 100주년을 기념해서 기획, 출간되었다는 걸 알게 해준다.

영화 탄생 100주년에 맞춰 기획된 이 책은 책임 편집자인 제프리 노웰스미스가 전 세계 80명 이상의 영화학자와 영화 평론가들을 참여시켜 '서커스 무대 같은 곳에서 초라하게 시작된 영화가 수백억 달러의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자 가장 스펙터클하고 창의적인 현대 예술'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포괄적인 시각으로 놀랍도록 생생하게 보여 준다.

영화학도는 물론이고 영화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 이런 책은 필수 '공구서'에 해당한다.

 

 

필수 공구서에는 영화사 책과 함께 영화연구 내지 영화이론에 대한 책도 포함되는데, 존 힐 등이 쓴 <세계영화연구>(현암사, 2004)가 거기에 해당한다. 이런 책들을 일년간 숙독하면서 주요 영화들을 꼼꼼히 챙겨보는 게 말하자면 '영화 공부'다. 국내서로는 정태수의 <세계 영화예술의 역사>(이대출판부, 2010)과 민병록의 <세계 영화영상기술 발달사>(문지사, 2001)도 눈에 띄는데, 도서관에서 한번 찾아봐도 좋겠다.

 

 

아, 말이 나온 김에 좀더 전문적인 식견을 원하는 독자라면 영화학자 데이비드 보드웰의 책들을 참고할 수 있겠다. <영화사>(지필미디어, 2011)와 <영화예술>(지필미디어, 2011)이 역시나 개정판으로 나와 있고, <영화 스타일의 역사>(시인사, 2010)도 영화에 관한 고급 교양서이다...

 

15. 03.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