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에는 관심도서가 여럿 되는데, 그중 조하나 보크만의 <신자유주의의 좌파적 기원>(글항아리, 2015)를 '이주의 발견'으로 고른다. '냉전시대 경제학 교류의 숨겨진 역사'가 부제. "저자는 20세기 자유시장 경제학자들의 동서 논의 현장을 복원하여 신고전파 경제학이 곧 신자유주의라는 통념을 뒤집으면서, 신자유주의라는 이념의 좁은 창문에 가려지기 이전에 이들의 논의와 토론이 이루어졌던 ‘경계 없는 은하계’를 그려 보인다."

 

 

원서를 찾아보니 번역서 제목이 부제이고, 원제는 '사회주의라는 이름의 시장'이다. '신고전파 경제학의 재발견'이라는 게 책이 갖는 의의로 지목된다. 소개는 이렇게 이어진다.

사회주의는 반反시장적 국가주의 이념인가? 이 책에 따르면 이는 근거 없는 낙인이다. 20세기 동유럽에서는 ‘사회주의에 기반을 둔 시장’을 추구하는 유의미한 정치 실험이 이루어졌고 이는 당시 신고전파 경제학 담론의 주요 축이었다. 20세기 말 신자유주의가 이념적 승리를 거두면서 ‘자본주의적 시장’이 가능한 유일한 체제인 양 오인되었을 뿐이다. 저자는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의 수많은 경제학자들을 인터뷰하고 동유럽 문서고의 다양한 문헌을 직접 검토하고 번역하였으며, 이들의 연구를 이해하기 위해 신고전파 경제학과 경제사상사의 까다로운 맥락들을 소화해냈다.

그렇게 우리의 통념에 대한 뒤집기를 시도한 책으로 피터 도베르뉴 등의 <저항 주식회사>(동녘, 2015)도 꼽고 싶다. '진보는 어떻게 자본을 배불리는가'가 부제. 내용을 보면 그렇게 예상 밖인 것만은 아니다.

이 책에서는 기업을 견제해야 할 사회운동단체들이 기업과 함께, 기업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행태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그런 행태는 매우 다양한데, 그중 하나는 운동단체들이 월급과 임대료 · 프로젝트 비용이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출처와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금을 모으는 것이다. 그들은 당연하다는 듯 대기업과 동반자가 되고, 특급 갑부들과 협력하거나 유명 인사들을 섭외하며, 기업의 돈을 받고 자신의 브랜드를 빌려 준다. 또 기업과 정부 · 시민들로부터 더 많은 후원과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브랜드 가치’를 관리하려 애쓴다. 저자들은 이렇게 기업화 된 사회운동단체들을 ‘군산복합체’에 빗대어 ‘비영리산업복합체’로 전락했다고 표현한다.

주제만 보자면 <신자유주의의 좌파적 기원>과 <저항 주식회사>가 첫 인상만큼 닮아 있지는 않지만, <저항 주식회사>를 '진보적 사회단체의 우파적 행태' 정도로 이해하면 대칭적인 의미는 가질 수 있겠다. 나란히 꼽은 이유다...

 

15. 03. 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