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분야의 책으로 '이주의 발견'은 세라 로즈의 <초목전쟁>(산처럼, 2015)이다. 제목만으로는 내용을 가늠하기 어려운데, '영국은 왜 중국 홍차를 훔쳤나'가 부제다. "19세기 초목전쟁을 통해 본 영국과 중국의 사회문화사." 그런데 왜 '초목전쟁'인가.

 

영국은 인도를 식민지화한 뒤 그곳에서 아편을 만들어 중국에 팔았다. 그러다가 이 불법 행위를 통제하려는 중국과 충돌해 아편전쟁을 일으켰다. 영국이 전쟁을 벌이면서까지 아편 판매에 집착한 것은 그 자체가 수익성이 높은 사업이기도 했지만, 그런 벌이가 없어진다면 막대한 양의 차를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그 대금을 치를 다른 방도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국에서는 공업혁명이 일어나고 도시화가 진척되는 사회 변동을 겪으면서 차가 전 국민의 기호품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수요는 늘어나는데 그것을 사올 돈줄이 막히는 것은 전쟁을 해서라도 막아야 했다. 공교롭게도 양국이 교환하던 상품들인 차와 아편은 각기 동백나무와 양귀비라는 두 가지 식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어서, 두 나라 사이의 전쟁은 이들 초목을 둘러싼 전쟁이었다.

이 전쟁 이야기는 다른 한편 "당시 청나라의 국가 비밀이었던 차 제조공정 등을 입수하기 위해 식물 채집자이자 원예사이지만 도둑과 스파이를 겸해야 했던 로버트 포천(1812∼1880)을 파견하여 차나무를 빼내오는 데 성공한 뒤 차 재배가 정착하면서 영국이 홍차의 나라가 되기까지의 흥미진진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영국 홍차에 대한 가벼운 읽을 거리로는 박영자의 <홍차 너무나 영국적인>(한길사, 2014)도 더 얹을 수 있다. "이 책은 영국과 홍차 사이에서 찾은 이야깃거리 23가지를 수록한 문화교양 에세이다. '홍차 아우라', '홍차 스파이', '홍차 중독자' 총 3부로 구성되었다." 영국에 가보지 않아서 실제로 얼마나 홍차를 마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러시아에서도 홍차도 필수 기호품이다. 대부분의 끼니에 뒤이어 홍차(그냥 '차'라고 부른다)가 식탁에 오른다. 아니 식사와 함께 마시기도 한다(오래 전 모스크바대학 구내 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하던 시절, 음료의 선택지는 쥬스 아니면 홍차였다). 대개 '립톤'이었던가. 카페인 때문에 커피와 함께 홍차도 금지돼 있어서 메밀차를 마시고는 페이퍼를 적었다...

 

15. 03. 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