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발견'으로 스티븐 케이브의 <불멸에 관하여>(엘도라도, 2015)를 고른다. '삶을 위한 인문학' 시리즈의 세번째 책인데, 첫 권이 셀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엘도라도, 2012)였고, 둘째 권이 수전 울프의 <삶이란 무엇인가>(엘도라도, 2014)였다. 출간 간격을 보면 점점 빨리 나오는 거 같은데, 넷째 권도 올해 나오는지 궁금하다. 공통점은 모두 강의를 바탕으로 한 책이라는 것. 소개는 이렇다.

 

TED에서 최단시간에 170만 명이 시청하며 화제가 된 스티븐 케이브 박사의 ‘불멸’에 대한 명강의가 책으로 나왔다. 죽고 싶지 않은 인간의 오래된 욕망, ‘불멸’을 ‘4가지 이야기’로 구분해 설명하면서, 불멸의 욕망이 어떻게 인류의 문명을 이끌어왔는지 풀어내고 있다. 프랑스의 알랭 드 보통과 비견되며 뛰어난 강연으로 소통하는 영국의 대중철학자 스티븐 케이브는 어둡고 막연할 것 같은 주제를 한 편의 소설처럼 흥미진진한 내러티브로 진행한다. 철학책이자 역사책인 <불멸에 관하여>는 “영원한 삶이 정말로 가능한가?”, “영생이 그토록 갈망할 가치가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뒤 그 대답의 과정을 파헤치고 있다. 

 

죽음을 주제로 한 책은 적지 않은데, 지난해 나온 책만 해도 여럿이다(표지만 다 무채색이로군). 불멸도 따지자면 같은 범주에 넣을 수 있겠다. 어떤 책을 기본서로 삼을 수 있을지는 좀 훑어봐야 알 것 같다. 화제작이었던 셀리 케이건의 책은 원서까지 구해놓았는데, 자꾸 독서 기회를 놓치게 된다. '문학 속의 죽음' 같은 강의를 하게 되면, 억지로라도 시간을 낼 거 같다. 아, 그 주제의 책도 이미 나와 있긴 하다.

 

 

학술적인 성격의 책이지만 최문규 교수의 <죽음의 얼굴 - 문학 속에서 인간은 어떻게 죽어가는가>(21세기북스, 2014), 황훈성 교수의 <서양문학에 나타난 죽음>(서울대출판문화원, 2013), 그리고 임철규 교수의 <죽음>(한길사, 2012) 등이다. <죽음>은 어디에 놓았는지 찾아봐야겠다...

 

15. 02.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