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번역학 분야의 의미 있는 책이 출간됐다. 조르주 무냉의 <부정한 미녀들>(아카넷, 2015). 원저는 1955년에 나왔으니까 60년만에 나온 한국어판이기도 하다. 저자는 프랑스의 언어학자로 소쉬르를 재발견한 인물 중의 하나로 기억하고 있는데(롤랑 바르트와 논쟁을 벌인 걸로도 유명하다), 번역학의 선구자이기도 하다고.
![](http://image.aladin.co.kr/product/5364/69/cover150/895733401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1/15/cover150/897641460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230/93/cover150/8957332685_1.jpg)
언어학자 조르주 무냉은 프랑스 번역학의 토대를 구축한 선구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현대 번역학이 “조르주 무냉에서부터 출발한다.”는 표현이 말해주듯, 그를 폄하하는 측에서건 치켜세우는 측에서건, 무냉이 현대 번역학의 시원(始原)에 서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찾아보니 <번역의 이론적 문제점>(고려대출판부, 2002)도 출간됐었다. 절판된 책으로는 오래 전에 나왔던 <언어학 안내>(신아사, 1984)가 있었다. 제목 그대로 언어학 입문서. <부정한 미녀들>은 학술명저 번역으로 나온 책으로는 발레리 라르보의 <성 히에로니무스의 가호 아래>(아카넷, 2012)와 함께 '번역학 고전'으로 꼽힌다. 라르보의 책은 1946년에 나왔다. 제목의 '부정한 미녀들'은 번역사/번역학 책에 자주 등장하는데, 이런 뜻을 담고 있다.
책의 제목인 “부정한 미녀들(les belles infideles)”이라는 표현은 17세기 타키투스, 루키아노스 등과 같은 고전들을 번역하면서 아주 대담한 태도를 취했던 페로 다블랑쿠르의 번역을, 질 메나주가 다음과 같이 여자에 빗대어 표현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가 한 번역들은 내가 투르에서 애지중지했던 한 여자, 아름답긴 했지만 정조는 없었던 그 여자를 생각나게 한다.” 이때부터 “부정한 미녀들”이라는 표현은 유려하긴 하지만 원작에 충실하지 못한 번역을 단죄하기 위한 낙인으로 사용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16/88/cover150/899610540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6/30/cover150/898880420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0/6/cover150/8960900281_1.jpg)
이 얘기는 쓰지 유미의 <번역사 산책>(궁리, 2001)에서 더 자세히 읽어볼 수 있고(<번역사 오디세이>(끌레마, 2008)가 재간본이다), 요네하라 마리의 <미녀냐 추녀냐>(마음산책, 2008)도 '부정한 미녀냐/ 정숙한 추녀냐'라는 번역학의 쟁점에서 제목을 가져왔다. '정숙한 미녀'라면 가장 좋겠지만, 대개 번역 상황에서 마주하게 되는 것은 부정한 미녀냐, 정숙한 추녀냐, 라는 선택지다. 무냉이 어떤 입장에 서 있는지 궁금하다...
15. 0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