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로마 신화' 읽기에도 세대가 있다면 나는 '토마스 불핀치' 세대에 속한다. 이윤기 선생 번역본으로는 '토마스 벌핀치'. 요즘도 여러 종의 번역본이 나와 있고, 어린이용으로도 널리 읽히고 있으니 단절된 세대라고는 볼 수 없지만(나는 삼중당문고로 읽었다!), 그 사이에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가 나온 걸 고려해서 그렇다는 말이다. 그렇게 볼핀치판과 이윤기판이 있다고 하면, 거기에 최근에 다시 나온 구스타프 슈바브판을 추가해볼 수 있겠다. 저자는 19세기 시인이자 교육자로서 그의 <그리스 로마 신화>가 독일뿐 아니라 유럽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판본이라고.

 

 

몰랐던 사실인데, 이 슈바브판도 국내에는 세 종의 판본이 있다. 이번에 나온 <구스타프 슈바브의 그리스 로마 신화>(휴머니스트, 2015)는 2006년에 물병자리에서 6권짜리 나왔던 번역본을 새롭게 다듬어 펴낸 것으로 훨씬 단정하고 고급스러워졌다.

 

 

다른 판본으론 작년에 나온 <구스타프 슈바브의 그리스 로마 신화>(느낌이있는책, 2014)가 있는데, 이 역시 3권짜리 구성이다. '신과 영웅의 시대'가 1권이고, '트로이아 전쟁'이 2권, '오뒷세우스, 아이네아스'가 3권이다. 서양 고전의 시발점이 되는 그리스 로마 신화 입문에 적절한 기준이 되어줄 듯싶다.

 

 

볼핀치 책은 어떤 번역본이 정본일까 찾아보니 아무래도 이윤기 번역본을 고를 수 밖에 없는데, <벌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창해, 2009)가 개정판까지 나와 있다. 거기에 성인용으로 가장 많이 읽히는 건 혜원출판사판. 어떤 경쟁력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안 그래도 최근에 그리스 로마 신화 관련으로 구입한 책은 필립 마티작의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그리스 로마 신화>(뮤진트리, 2015)였다. "고대 로마사에 정통한 저자는 3,000여 년 동안 꾸준히 읽혀온 신화를 왜 읽어야 하는지, 고대 그리스나 로마인들의 인간관과 우주관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짧은 해설을 덧붙여 설명한다." 흔한 제목의 책이긴 한데, 저자가 <로마 공화정>(갑인공방, 2004)의 저자여서 믿음이 갔다. <로마 공화정>도 같이 구입한 책이긴 하지만, 그 정도 책을 저술한 역량이라면 믿을 만하겠다는 계산에서다.

 

그렇게 저자의 역량만 믿고서 선뜻 원서와 같이 구입한 책이 그레고리 나지의 <고대 그리스의 영웅들>(시그마북스, 2015)이다. '필멸의 인간 영웅 아킬레우스에서 아고라의 지성 소크라테스까지'가 부제인 책인데, 저자는 '하버드 대학교의 그리스 고전 문학 프랜시스 존스 석좌교수이며 비교문학 교수"이다. 가장 권위 있는 학자 가운데 한 명인 듯싶어서 '묻지마 구입'을 단행한 책.

 

 

그러고 보니 그리스 영웅전이라면 플루타르코스의 책도 비껴갈 수 없겠다. 여러 번역본이 있지만 천병희 선생이 옮긴 <그리스를 만든 영웅들>과 <로마가 만든 영웅들>(도서출판숲, 2006)이 짝이다. 학생용으로는 <그리스와 로마의 영웅들>(돋을새김, 2015)이 가장 최근에 나온 책이다. 아무려나 이런 책들은 '신화 사전'이나 '인물 사전'을 겸하는 종류이기에, 서가 한쪽에 나란히 꽂아두면 되겠다. 아주 오랜만에 '그리스 로마 신화' 판본도 업데이트하는 겸...

 

15. 02. 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