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구면이기에 '이주의 발견'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이주의 쳘학서'로는 꼽을 만한 책이 출간됐다. 비토리오 회슬레의 <독일 철학사>(에코리브르, 2015)다. '독일 정신은 존재하는가'가 번역본의 부제다.
![](http://img.welt.de/img/ausland/crop120037084/3969732324-ci3x2l-w540/Vittorio-H-Foto-2004-2-.jpg)
항상 회슬레에 대한 소개로 따라 다니는 건 '서양철학사에 보기 드문 천재'라는 가다머의 격찬인데(노년의 가다머와 함께 철학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력도 있다) 그런 기대에는 못 미치는 게 아닌가도 싶지만(독일 철학계에서의 정확한 평판은 알지 못하겠다), 여하튼 국내에는 <현대의 위기와 철학의 책임>(도서출판b, 2014)과 <비토리오 회슬레, 21세기 객관적 존재론>(에코리브르, 2007) 등이 소개돼 있고 주저인 <헤겔의 체계1>(한길사, 2007)는 절반만 나오고 먹통인 상태다(그밖에 더 소개된 세 권은 절판된 상태).
![](http://image.aladin.co.kr/product/5240/4/cover150/896263132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613/63/cover150/899170628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2/79/cover150/8990048850_1.jpg)
책은 여러 권 주섬주섬 사모았지만 본격적으로 읽진 않아서 뭐라 말할 수 없지만 <독일 철학사>라면 바로 읽어볼 만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29/18/cover150/893061041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34/2/cover150/893061042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6/56/cover150/8980385390_1.jpg)
독일 철학사 관련서로는 코플스턴 신부의 서양철학사 시리즈 가운데 <18, 19세기 독일철학>(서광사, 2008)과 함께 니콜라이 하르트만의 <독일 관념론 철학>(서광사, 2008), 그리고 베르너 슈나이더스의 <20세기 독일철학>(동문선, 2005) 등을 참고할 수 있겠다(슈나이더스의 책은 놓쳤던 듯한데, 일단 장바구니에 담는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204/0/cover150/897297698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851/81/cover150/897297691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683/58/cover150/8964450957_1.jpg)
굳이 태그매치를 하자면, <처음 읽는 독일 현대철학>(동녘, 2013)과 짝을 지어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철학>(동녘, 2013)과 프레데릭 보름스의 <현대 프랑스철학>(길, 2014)에 맞세우고 싶다. '처음 읽는 철학' 시리즈가 말 그대로 처음 읽을 수 있는 시리즈가 아니긴 하지만. 여하튼 회슬레 입문으로서도, 그리고 독일철학에 대한 입문으로서 요긴할 법한 책이 출간돼 반갑다. 얼마나 유익할지는 확인해봐야겠다...
15. 0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