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분야의 '이주의 발견'을 골라놓는다. 먼저 '교유서가 첫단추 시리즈'로 첫 세 권이 출간됐다. 옥스포드대출판부에서 나오는 VSI시리즈(Very Short Introductions)를 중심으로 짜인다고 하는데(이 시리즈는 1995년부터 출간돼 현재 350권 이상이 나와 있다), 일단은 이 시리즈의 <철학>, <역사>, <수사학>이 1차분으로 나왔고 <로마 공화정>과 <로마 제국> 등이 이어지는 것으로 돼 있다.

 

 

VSI 시리즈는 사실 처음 소개되는 것은 아니고 간헐적으로 단행본으로 출간되거나 '한겨레 지식문고'로 9권이 출간된 바 있다. 한겨레 지식문고가 주로 사회과학 쪽 이슈를 다룬 책들로 구성돼 있다면, 교유서가는 인문학 분야의 책들로 구성돼 있는 게 눈에 띄는 차이다.

 

 

이 시리즈의 특징은 짧고 저렴하다는 것과 신뢰할 만하다는 것이다. 영어권 대표 출판사에서 펴내는 시리즈인 만큼 충분히 소개될 만하고 읽어볼 만하다. '인문교양의 첫단추'로 삼아도 좋겠다.

 

 

또 하나 눈에 띄는 책은 에레즈 에이든과 장바티스트 미셸의 <빅데이터 인문학>(사계절, 2015)이다. 부제는 '800만 권의 책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이다. 빅데이터 시대가 인문학에 어떤 변화 혹은 충격을 가져올 것인가를 보여주는 한 가지 사례로 보이는데, 소개는 이렇다.  

지금까지 인간이 축적해온 기록 유산과는 규모 면에서 비교가 불가능한 어마어마한 양의 디지털 기록, 즉 빅데이터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인문학이 맞이하게 될 혁명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책이다. 30대 초반의 과학자인 두 저자는 첨단 과학기술이 제공하는 도구를 사용한다면, 인문학이 인간에 관해 지금껏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빅데이터는 그동안 물리적, 기술적 한계 때문에 접근할 수 없었던 많은 영역을 열어젖히며 인문학을 확장해나갈 것이다.

사실 국내에서는 빅테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도 인력도 갖춰져 있지 않다고 들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서는 계속 출간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빅데이터 시대로 접어 들었기에. 이러한 변화가 갖는 의미와 추세에 대해서는 네이트 실버의 <신호와 소음>(더퀘스트, 2014)를 참고하는 게 좋겠다. 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어떻게 신호를 포착할 것인가란 문제를 다룬다. 저자는 2012년 미국 대선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유명해진 통계학자이자 정치 예측가이다('정치 예측가'란 직업도 있는 것인가?)...

 

15. 01.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