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고전'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상학>(길, 2014)을 고른다. 책은 두어 주 전에 나온 듯한데, 일단 첫인상은 '관상학까지?'라는 거였고, '이젠 끝인가?'라는 게 두번째 든 생각이었다. 두 가지 의문에 대해 몇 자 적는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아리스토텔레스와 관상학'이란 해설만으로도 답하기엔 충분하다.

 

 

사실 '만학의 제왕'이라는 소리까지 듣는 아리스토텔레스이기에 그가 쓰지 못할 분야의 책은 없을 거라고 생각하면서도 관상학은 어쩐지 잘 연상되지 않았다. 아마 못 들어봐서 그런 것일 텐데, 역자의 해설을 참고하니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관상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을 뿐 실제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학풍을 이어받은 똘똘한 '짝퉁 아리스토텔레스'가 기원전 3세기경에 쓴 것으로 추정되는 저작이란다. 이름을 빌려쓴 책인 셈인데, 그럼에도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모음집'에는 포함돼 있는 모양이다. 이 모음집이 19세기 편집된 판본인데, 해제에 따르면 오늘날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냥 <아리스토텔레스에게로 돌려진 관상학>이다. 하지만 그런 해제/해설에도 불구하고 번역본은 '아리스토텔레스 지음'이라고 못박고 있어서, 그래도 되는 건지 싶다. 개봉해보고 나서야 '유사품'인 줄 알게 된다면, 실망할 독자들도 있지 않을까.

 

 

그럼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저작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역자가 주제별로 정리해놓은 것을 보면(67쪽), 논리적 저작으로 <범주론>, <명제론>,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 <변증론>, <소피스트적 논박> 등이 있다. 이론철학적 저작으론 <자연학>, <형이상학>, <영혼론>, <생성소멸론>, <기상학>, <천체론> 등이 전해지고, 실천철학적 저술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에우데모스 윤리학>, <대윤리학>이 남아 있다. 그리고 언어학적-철학적 저작으로 <수사학>과 <시학>이 있고, 생물학에 관련된 작품으로 <동물지>, <동물 부분론>, <동물 운동론>, <동물 생성론> 등 의외로 많다. 전체의 25퍼센트 가량이 '생물학' 저작이라고 하는데('생물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말이 아니다)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단계라 한다.

 

 

내가 아는 상식으론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장 중요한 3대 저작이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정치학>, 그리고 <형이상학>이다. 거기에 <시학>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저작으로 포함시킬 수 있겠다. 그래서 <영혼에 관하여>나 <에우데모스 윤리학>까지 번역돼 나왔을 때 일반 독자가 읽기에는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머지 저작들은 전공자가 아닌 다음에야 '보너스'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서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관상학>은 보너스에 더 얹어진 덤이다.

 

 

아무튼 짝퉁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상학> 때문에 관련서를 검색하다가 설혜심 교수의 <서양의 관상학 그 긴 그림자>(한길사, 2002)도 구입했다(곧 품절될 것 같은 책이다). 사실 19세기 초까지도 유럽에선 관상학이 유행해서 작가들이 인물들의 외모를 묘사할 때 많이 참고한 걸로 돼 있다. 러시아문학에서 이와 관련한 논문을 오래 전에 읽은 기억이 난다. 좀더 자세한 실상을 알고 싶어서 구입한 책. 더 찾아보니 정종진의 <한국 현대문학과 관상학>(태학사, 1997)이란 책도 나와 있다. 그리고 허영만의 만화 <꼴>을 감수했다는 관상학 '대가'의 책도 눈에 띈다. <신기원의 꼴 관상학>(위즈덤하우스, 2010). 직업적인 필요에서가 아니라면 그냥 재미삼아 한번 읽어봐도 좋겠다...

 

15. 01. 10.

 

P.S. 언제부턴가 서재에서 '목록보기'가 안된다. '펼쳐보기'로만 고정해놓은 것인지, 에러인지 모르겠다. 뭔가 불편한데, 이런 불편함에도 새해엔 적응해야 하는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