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권의 책 제목을 이어붙인 것이고 특별한 내용은 없다. 연말에 존 스캑스의 <범죄소설>(서울대출판문화원, 2014)과 조 모란의 <학제적 학문연구>(서울대출판문화원, 2014), 두 권이 한꺼번에 나왔는데, 표지를 보면 시리즈 도서의 모양새이긴 하지만, 별다른 소개가 없다. 개인적으로는 예전에 나왔던 '비평용어 총서'의 업데이트 버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억에 첫 권은 폴 코블리의 <내러티브>(서울대출판문화원, 2013)였던 것 같다. 찾아보니 시리즈의 모델은 루틀리지에서 나오는 '새 비평용어' 시리즈다.  

 

 

영국에서 나오는 책답게 책값이 너무 세서 구입을 보류하고 있는 시리즈이기도 한데, 번역서도 낮은 가격은 아니다. 아마도 학술서 범주의 책이라 독자가 한정돼 있다는 걸 고려한 듯. 하지만 이 정도 책이면 인문학, 특히 영문학 전공자들에게는 기본서에 해당하기 때문에(해당 분야의 가이드북인지라) 더 널리 읽힐 만하다. 학생들의 얇은 주머니 사정을 생각하면 예전 정가가 1000원이던 '비평용어 시리즈'만큼은 아니더라도(얇은 책이긴 했다) 좀더 저렴하게 책값이 매겨지면 좋겠다. 그런 바램과 더불어 이런 책에 주목하는 독자도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페이퍼를 적었다.

 

 

한편, 범죄소설을 주제로 한 책은 재작년에 한꺼번에 나와서 여러 번 언급한 적이 있는데, 말이 나온 김에 한번 더 적는다. 김용언의 <범죄소설>(강, 2012)과 줄리안 시먼스의 <블러디 머더>(을유문화사, 2012), 그리고 레너드 카수토의 <하드 보일드 센티멘털리티>(뮤진트리, 2011) 등이다.

 

 

내러티브 쪽으로는 한국외대와 연세대출판부에서 펴내는 학술총서에서 책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한때 전망이 별로 없어 보이던 내러티브 연구, 곧 서사학 쪽에서, 영어권에서도 그렇고, 재활의 움직임이 느껴진다(물론 내러티브가 '스토리텔링'을 포함하게 되면 거품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부풀려져 있고). 그런 경향 가운데 하나가 내러티브 교육과 내러티브 클리닉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마이클 화이트의 책들이 국내에 소개돼 있다. <내러티브 실천>(학지사, 2014), <부부치료와 갈등해결을 위한 이야기치료>(학지사, 2012), <이야기치료의 지도>(학지사, 2010) 등.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나도 한권 읽어보려고 한다...

 

15. 01. 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