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저녁에 갑자기 생각이 나서 찾은 책은 리처드 로티(1931-2007)의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까치, 1998)이다. 절판된 지 오래이고, 중고판은 가장 싼 게 35000원(최상급은 45000원이다). 20000원대라면 다시 주문할 뻔했지만, 소장도서를 그리 살 수는 없어서 가까운 도서관을 검색해봤다. 가까이에는 없고 발품을 좀 팔아야 대출할 수 있었는데, 그렇게 발품을 팔거라면 서고를 한번 더 뒤져보는 게 낫겠다 싶다(서고로 쓰는 공간은 집에서 차로 15분은 가야 되는 거리에 있다).

 

 

원 책이 절판됐으니 해설서도 멋쩍겠는데, 그럼에도 다시 읽어볼 욕심을 낸 것은 2009년에 30주년 기념판이 나왔기 때문이다. <철학과 자연의 거울>(<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은 학계에서 통용되지 않는 제목이다)이 1979년에 나왔기 때문에 2009년이 30주년이 되는 해였다(정확하게는 2008년말에 출간된 듯하다). 2007년에 세상을 떠났으니 그를 추모하는 의미도 겸했겠다.

 

 

국내에서 출간된 로티 관련서를 모두 갖고 있었지만(상당수를 읽었고) 최근 몇년간은 소원했다. 그는 내게 지젝 이전의 철학자여서다. 그래봐야 그 사이에 나온 책은 <로티의 철학과 아이러니>(아카넷, 2014) 한권밖에 없고, 모두 1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입문서로 가장 평이한 건 이유선의 <리처드 로티>(이룸, 2003)이고, 좀더 자세한 책으론 김동식의 <로티의 신실용주의>(철학과현실사, 1994)가 있다(놀랍게도 아직 절판되지 않았다). <철학과 자연의 거울> 외에 주저에 해당하는 <실용주의의 결과>(민음사, 1996)나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민음사, 1996) 등은 모두 절판된 상태. 그러고 보니 대학원 시절에 가장 애독했던 철학자의 한 명이 로티였다(아마도 한나 아렌트가 거기에 추가될 듯싶다).

 

독자에게 어떤 저자나 책은 자기만의 연대를 갖는다. 내게 로티는 주로 1996년과 1998년 사이에 놓여 있으며 그맘때를 상기하게 해주는 철학자다. 아니 분석철학의 기린아로 프린스턴대학 철학과에서 강의하다가 뛰쳐나와(쫓겨나서?) 버지니아대학의 인문학 석좌교수로 자리를 옮겼다가 다시 스탠포드대학 비교문학과에 재직하던 중에 세상을 떠났으니 그의 경력을 '철학자'로만 한정할 수도 없겠지만, '로티의 철학'을 다시금 더듬어보고 싶다. 이번 겨울엔 내 나름의 '로티 컬렉션'을 재정비해봐야겠다. 아무튼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도 사라진 책에 속한다는 걸 확인하게 돼 간단히 적는다. 다시 나오면 좋겠다. 제목은 바꿔 달고서...

 

14. 12. 22.

 

 

P.S. 로티의 독자라면 탐을 낼 만한 것이 철학논문집인데, 나는 두 권까지 구입했지만 이후에 두 권이 더 나온 것 같다(올해 초기논문집이 따로 나왔으니 다섯 권인 셈인가?). '콜렉션'은 정비하게 되면 구색을 갖춰놓는 것도 고려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