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고전'으로 아프리카문학 대표작들을 고른다. 벤 오크리의 <굶주린 길>(문학과지성사, 2014)이 출간되어서인데, 1959년생인 벤 오크리는 나이지리아 중부 민나 출생이고 나이지리아 정부 장학생으로 영국의 대학에서 공부한 후 BBC에서 프리랜서로 일한 경력을 갖고 있다. 대표작이 1991년에 발표하여 부커상을 수상한 <굶주린 길>이다. 어떤 작품인가.
![](http://image.aladin.co.kr/product/4995/49/cover150/893202676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525/68/cover150/009992930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78/86/cover150/0143106694_1.jpg)
벤 오크리는 독립을 전후로 한 격동기의 나이지리아에서 태어났다. 치누아 아체베, 윌레 소앙카와 같은 아프리카 문학 1세대 작가들이 아프리카의 식민지 현실과 독립에의 열망을 문학에 담아냈다면 벤 오크리는 독립 이후 아프리카의 현실에 주목한다. 어린 시절 겪은 비아프라 내전과 이어지는 숱한 종족 갈등과 쿠데타는 벤 오크리에게 정신적 상흔으로 남았으며, 그는 이 어두운 역사를 수많은 작품에 담아냈다. 소설 <굶주린 길>도 그 연장선에 있다. 리얼리즘의 한계를 느낀 벤 오크리는 현실과 초현실을 오가는 혼령 아이를 설정해, 혼란의 시기에 자신이 직접 본 살아 숨 쉬는 일반인들의 역사, 그 역사를 온몸에 새긴 인물들을 묘사하며, 마치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오고 가는 혼령 아이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국 나이지리아를 그려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838/50/cover150/897527010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598/71/cover150/897527623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78/86/cover150/0143106767_1.jpg)
동시대 아프리카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라는 점에서는 1세대 작가로 올해도 유력한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됐던 응구기 와 시응오도 같이 떠올릴 만하다. 펭귄판 <울지마라, 아이야>(1964)에 벤 오크리가 서문을 붙이고 있어서 연관짓게 된 것인데, 1938년생인 응구기의 대표작은 1967년작인 <한 톨의 밀알>(들녘, 2014)이다(번역본은 여러 번 재출간됐다). 어떤 작품인가.
월레 소잉카, 치누아 아체베, 나딘 고디머, 존 쿳시 등과 더불어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작가로 손꼽히는 응구기 와 시옹오. 응구기가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한 작품으로, 작가의 작품세계가 전환기를 맞이했음을 알려주는 소설이다. 이 소설은 형식, 내용, 문체 등 모든 면에서 그의 최고작으로 손꼽힌다. 외부 세력에 의한 공동체의 붕괴가 가져다준 비극과, 그 공동체를 다시 일으켜 세우려는 지난한 과정에서 사람들의 심리와 행위가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면서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렌스의 서정성과 콘라드의 비극성을 잘 조화시켜 놓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요컨대, 아프리카문학이 어디에 있느냐고 묻는다면, 이 두 작가의 대표작을 꺼내놓을 수 있겠다. 제목도 비슷하게 연상되기에 기억도 쉽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아프리카문학의 강의에서 다룬다면 필수 커리 두 편은 정해진 셈이다...
14.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