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북플이 생기면서 즐찾이 하루에 수십 명씩 늘어나고 있고(오늘로써 5000명을 가뿐히 넘어섰다) 친구신청도 쇄도하고 있다(오늘로써 120명이 넘어섰다). 가만히 있어도 활동량이 많은 것 같은 착각이 들면서 없던 피로감마저 느껴진다(뭔가 일을 하나 더 하고 있는 듯한 느낌). '너무 많은 친구들' 때문에 생기는 문제를 조만간 겪게 될 듯한데, 오프라인에서는 친구들과 분기에 한번 얼굴 보기도 어려운 처지에서 이렇게 '사교적'이 되다니 알 수 없는 게 온라인 세계다(그럼에도 아직 북플에 익숙지 않아서 검지로 클릭하는 것만 하고 있다). 푸념은 푸념이고, '이주의 책'을 고르려다가 따로 처리해야 할 저자들도 있기에, '이주의 저자'를 한번 더 고르려다가, 다시 마음을 고쳐먹고 두 역사학자만 따로 적기로 한다. 미시사로 유명한 내털리(나탈리) 데이비스와 한국사 연구자 에드워드 슐츠다.
먼저, 내털리 데이비스. 1928년생이니까 이젠 상당히 연로한 학자다. 영화로도 만들어졌던 <마르탱 게르의 귀향>(지식의풍경, 2000)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는데, 주된 연구분야는 16세기 프랑스사다. 16세기 프랑스의 선물 문화를 다룬 <선물의 역사>(서해문집, 2004)와 16세기 한 무슬림 책략가의 삶을 다룬 <책략가의 여행>(푸른역사, 2010)에 이어서 이번에 나온 건 <주변부의 여성들>(길, 2014)로 '17세기 세 여성의 삶'이 부제다. 1995년작.
유럽과 일본의 종교를 비교 연구해 이른바 ‘다중적 근대성’을 주장한 슈무엘 아이젠슈타트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근대화: 비교의 관점>에서 영감을 받아 쓴 이 책에서 그녀는 17세기 세 여성, 즉 독일계 유대인 상인 글리클 바스 유다 라이프, 프랑스 출신 가톨릭 선교사 마리 기야르, 그리고 독일과 네덜란드를 넘나들며 활동한 신교도 화가이자 곤충학자인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의 삶을 비교한다. 유럽 내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살았고 종교, 직업, 계급이 달랐고, 결혼생활의 방식과 자녀 양육에 대한 태도까지도 모두 달랐던 세 여성의 삶을 각각 세밀하게 묘사함으로써 데이비스는 17세기 유럽의 도시 여성의 삶에 열려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하고자 한다.
17세기 여성의 삶이면 문학작품을 통해서는 자세히 들여다보기 어려운데, 그런 난점을 돌파해줄 만한 책으로 여겨진다. 원로 학자의 중후함이 느껴지는 저작.
그리고 미국의 한국학자로 고려사가 전공인 에드워드 슐츠. <삼국사기> 중 <고구려본기>를 영역하기도 한 학자다. 박사학위논문을 토대로 한 <무신과 문신>(글항아리, 2014)이 이번에 출간됐다. '한국 중세의 무신정권'이 부제. '무신정권시대'라는 용어로 우리에게 각인된 상식에 어떤 통찰을 더해줄 수 있을지 궁금하다.
고려의 무신 집권기를 다룬 책으로, 해외 한국학의 권위자인 에드워드 슐츠 교수의 저작이다. 최충헌의 무신정권을 집중 연구한 저자는 1966년 한국을 처음 방문해 박정희 정권을 보면서 무신정권과의 연결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고, 그 궁리는 연구로 이어졌다. 저자는 박정희와 최충헌 모두 쿠데타를 일으킨 장본인이지만 경제와 문화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냈고, 또한 군사력으로 정권을 잡은 한계 속에서 문치文治를 중시한 것 역시 공통점으로 꼽는다. 저자는 무신 정권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인 평가들과 달리, 이를 통해 한국 사회가 정치.사회.제도적으로 어떠한 발전을 이루었는가에 초점을 맞춰 역사 해석의 한 관점을 제시한다.
책이 갖는 의의에 대해서는 해외 한국학의 좌장격인 제임스 팔레 교수의 견해를 참고해볼 수 있겠다.
슐츠 교수의 책은 한국사의 중요한 발전이 일어난 1170년부터 한 세기에 걸친 무신정권의 수립 과정에 대한 매우 소중한 해석을 제공한다. 이 기간은 12세기 후반 일본 가마쿠라 막부와 일부 닮았지만, 고려에서 무신은 중앙에서 권력을 장악해 국왕을 무력화시킨 반면 문신은 그대로 관직에 두었다. 이런 무신정권 시대는 한국이 저항하는 세력에 맞서 중국 방식의 문신 통치를 받아들이기가 얼마나 어려웠으며, 고려왕조의 관습과 제도가 문신이 통치하며 왕권이 강화되고 유교 규범이 지배한 조선과 어떻게 달랐는지를 보여준다. 이 책은 고려 역사의 이런 중요한 시기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업적이다.
그에 상응할 만한 업적이 국내에는 뭐가 있을까 찾아봤지만 얼른 눈에 띄지 않는다. 통사의 일부가 아니면 학술논문들이 좀 있으려나. 말이 '국학'이지 어떤 주제이건 간에 막상 깊이 있는 저작을 찾으려고 하면 빈곤해 보이는 게 여전한 우리의 현실인 듯싶다...
14.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