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책이 한권 눈에 띄어서 '이주의 발견'으로 적는다. 마크 바우어라인의 <가장 멍청한 세대>(인물과사상사, 2014). '디지털은 어떻게 미래를 위태롭게 만드는가'란 부제에서 내용을 어느 정도 짐작해볼 수 있다. 중요한 건 이를 입증할 만한 데이터인데, "국가 규모의 방대한 조사·연구 결과와 다양한 전문가 의견은 그의 논지를 견고하게 뒷받침해준다"고 소개돼 있어서 믿어보기로 했다. 저자는 에모리대학 영문과 교수이고, 책은 2009년에 나왔다. 니콜라스 카의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청림출판, 2011)과 같이 읽어봐도 좋겠다(원서는 카의 책이 한 해 더 늦게 나왔다). 소개는 이렇다.
오늘날 젊은이의 지적 능력은 미디어나 전자 기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인터넷에 능통하고 정신없이 바쁜 고교 졸업반 아이들에게 몇 가지 지적인 질문을 던지면 어떨 것 같은가. 이들은 대체로 체크카드, 휴대전화, 마이스페이스 페이지, 파트타임 일자리를 가지고 있지만, 정작 지적인 문제에 부딪히면 뭐든 잘 알 것 같은 당당함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그렇기에 작가 필립 로스가 2000년 <휴먼 스테인>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가장 멍청한 세대’라는 표현은 매우 적절해 보인다. 인류 역사상 물질적 조건과 지적 성취 사이에 이토록 깊은 골을 만든 집단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이토록 많은 기술 향상을 겪고도 이토록 보잘것없는 정신 발전을 이룬 이들도 없었다. ‘가장 멍청한 세대’의 탄생과 특징을 지식, 독서, 영상, 학습, 전통, 미래 등 총 6장에 걸쳐 상세히 기술한다.
문학비평가 해럴드 블룸이 추천사에서 한 마디 거들었는데, "독서의 종말이라는 우울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우리가 시급히 생각해보야야 할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안 그대로 독서를 주제로 강연을 할 때면, 나도 비슷하게 우울한 어조 내지 냉소적 어투로 말할 수밖에 없는데 '가장 멍청한 세대'는 과연 자신의 '멍청함'을 알까, 라는 데 생각이 미치면 상황은 코믹하기까지 하다. 많은 걸 기대할 수 없지만, 책과는 담을 쌓은 젊은 세대가 좀 읽어봤으면 싶다...
14.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