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동대문구정보화도서관에서 책세상판 전집을 바탕으로 카뮈의 <이방인>과 <페스트>에 대해서 강의를 했다. 이런 종류의 고전이야 여러 번역본이 나와도 언제나 환영인데(물론 <데미안>이나 <동물농장> 같은 작품의 새 번역본은 사양하고픈 심정이지만), 마침 <이방인>과 <페스트>의 새 번역본이 출간됐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844/45/cover150/897065426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8/47/cover150/8931005148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70/98/cover150/8970138129_1.jpg)
먼저 <이방인>(홍익출판사, 2014)의 경우엔 유기환 교수의 번역으로 새로 나왔다. 살림지식총서의 <알베르 카뮈>(살림, 2004) 저자이고, 오래 전에 <반항인>(청하, 1993)을 우리말로 옮긴 바 있다. 이휘영 교수의 '원조' 번역본, 김화영 교수의 '대표' 번역본과 나란히 놓을 만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85/36/cover150/895276608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96/10/cover150/893291172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08/64/cover150/8954614825_1.jpg)
<이방인>에 대해선 한 불문학 전공자가 최수철 작가가 옮긴 <이방인>(시공사, 2012)을 추천한 적이 있는데, 대략 3종 정도를 대조해서 읽으면 작품을 이해하는 데 큰 무리는 없을 듯싶다. 열린책들판의 <이방인>과 문학동네판 <이인> 등도 같이 읽어볼 만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952/0/cover150/893291229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874/59/cover150/893100716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5/33/cover150/8970131140_1.jpg)
<페스트>(열린책들, 2014)도 세계문학전집판으로 출간되어 이휘영 교수나 김화영 교수 번역본에 겹쳐서 읽을 수 있게 됐다. 생각만큼 번역본이 많지 않은 터라 반갑게 느껴진다. 몇몇 대목은 번역을 비교해보고픈 마음도 있어서 바로 주문할 참이다. 인생은 다시 살 수 없지만, 책은 다시 읽을 수 있다. 불행 중 다행이란 말은 여기에도 해당될 수 있으리라...
14.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