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물론 쇼펜하우어의 주저 <의자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을유문화사, 2009)를 가리킨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겨울에 완독해볼 철학서로 염두에 두고 지난주부터 행방을 찾고 있다(책들이 여러 곳에 보관돼 있는 탓에 발품과 추리력이 모두 동원되어야 한다).



갑자기 염세주의에 끌려서는 아니고, 최근에 가이드북이 될 만한 책이 여러 권 출간되었기 때문이다. 실상 을유문화사판 새 번역본이 나오기 전까지는 도전하기도 만만찮았던 책이다. '데.칸.쇼'라고 하여 데카르트, 칸트와 함께 (일본과 한국에서) 서양철학의 대명사였던 철학자가 쇼펜하우어이지만, 이 방대한 주저를 무턱대고 손에 드는 건 무모한 도전에 가까웠다.



'가이드북'이란 말로 염두에 둔 건 최근에 나온 로버트 윅스의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입문>(서광사, 2014), 이동용의 <쇼펜하우어, 돌이 별이 되는 철학>(동녘, 2014), 그리고 김진의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읽기>(세창출판사, 2013) 등이다. 경험상 이 정도 장비면 아무리 험한 봉우리라도 도전해볼 만하다.


그리고 원저는 독어로 쓰인 까닭에 직접 읽을 수가 없어서 영역본을 이번에 대신 구입했다(두툼한 책 두 권이다). 오늘 배송된다는 메일을 받고서 생각이 나서 적는 페이퍼이다.



한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이외에 더 소개된 쇼펜하우어의 책으로는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을유문화사, 2013),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아카넷, 2012), <충족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하여>(나남, 2010) 등이 있다.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 대한 독서가 순탄하게 진행되면 마저 구비해놓을 참이다...
14.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