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이면 주례 행사처럼 겪는 일이 책과의 숨바꼭질이다. 강의나 필요 때문에 찾으면 며칠 전만 해도 보이던 책들이 마치 골탕이라도 먹이려는 듯이 사라지고 없다. 흥분해봐야 스트레스만 더 받는다는 걸 경험으로 알기에 마음을 다독이고 합리적인 추리까지 동원해보지만 끝내 찾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하다('실종도서'로 분류하는 수밖에). 그래도 당장 내일 강의에 쓸 책이라면 점심을 먹고 나서 2회전에 돌입해야 한다. 잠시 진정하는 동안 '이주의 저자'를 골라놓는다. 이미 주중에 낙점했기에 별다른 고민의 여지도 없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857/2/cover150/896090206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618/79/cover150/600076380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829/24/cover150/8994079912_1.jpg)
먼저 국문학자 천정환 교수의 묵직한 책으로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마음산책, 2014)이 출간됐다. 얼마전에는 데뷔작 <근대의 책읽기>(푸른역사, 2014/2003) 개정판이 출간되기도 했다. 제목만으로는 가늠이 잘 안 되지만 '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란 부제가 어떤 성격의 책인지 요약해준다. 그 123편의 창간사도 수록돼 있기에 자료집으로 요긴한 책. "이 책은 1945~49년, 1950년대, 1960년대 그리고 2000년대까지 10년 단위로 시대를 나누고, 각 시대 안에서 반드시 눈여겨봐야 할 잡지들을 추려 그 창간사에 투영된 문화와 지성을 읽는다."
공저로 펴낸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푸른역사, 2013)과 보완적으로도 읽을 수 있겠다. 한데, 개인적으로 궁금한 건 책의 내용보다도 그 많은 자료를 어떻게 보존하고 관리해왔을까 하는 것이다. 두서없는 책더미 속에서 매주 허덕이는 경우라면 '학자'로선 자격 미달이겠다는 생각과 함께.
![](http://image.aladin.co.kr/product/4828/67/cover150/893202650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929/63/cover150/8957333517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431/29/cover150/8932021937_1.jpg)
두번째는 러시아문학자 김수환 교수. 러시아 문화기호학의 거장 유리 로트만 전공자로 로트만 번역과 연구에 매진하면서 이미 여러 권의 책을 펴냈고, 이번에는 '유리 로트만과 러시아 문화'를 부제로 단 <책에 따라 살기>(문학과지성사, 2014)를 출간했다. '책을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책에 따라 살기'를 원했던 '러시아적 태도'의 매혹과 위험을 짚어낸다.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일 조차 낯설어하는 문화라면 '책에 따라 살기'는 정말로 남의 나라 일에 지나지 않지만, 자신의 성향이 '러시아적'이라고 믿는 독자라면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겠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책을 고르고 있는 사람들을 담은 표지가 인상적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875/26/cover150/890116630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213/44/cover150/896260644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303/99/cover150/8962605163_1.jpg)
그리고 세번째는 영국 최고의 논픽션 작가로 평가받는다는 제프 다이어. 국내에는 세번째 번역된 책으로 <꼼짝도 하기 싫은 사람들을 위한 요가>(웅진지식하우스, 2014)가 출간됐다. 요가책이 아니라 여행책이다(서점에서는 또 요가책으로 분류해놓는 게 아닌가 염려된다). '폐허를 걸으며 위안을 얻다'가 부제. 여러 말을 늘어놓을 필요 없이 알랭 드 보통의 추천사가 강력하다.
제프 다이어의 반문화 히피로서의 면모가 유감없이 발휘된 작품이다. 그는 점잖게 세계를 여행하는 나이 든 신사가 아닌 자유로운 힙스터이다. 흥미롭고 웃긴 그의 내면세계를 엿볼 수 있으며, 그가 작가로서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에세이 중 내가 가장 자신 있게 추천하는 작품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527/63/cover/0349116237_1.jpg)
제프 다이어의 책으론 사진에 관한 책 <지속의 순간들>(사흘, 2013)과 재즈에 관한 책 <그러나 아름다운>(사흘, 2014/2013)이 먼저 나왔지만 좀더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건 여행에 관한 책이지 않을까 싶다. 거기에 덧붙여 내가 기대하는 건 '한 방에 이르는 여정에 관한 영화에 관한 책' <조나>이다. "비전문가이면서도 그 어떤 작품보다 독특하고 매력적인 사진 에세이와 재즈 에세이를 출간했으며,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스토커>만을 텍스트로 삼은 에세이도 출간했다"는 저자 소개에서 <스토커>만을 텍스트로 삼은 바로 그 책이다. 제프 다이어와의 인연이 좀더 오래 지속될 듯싶다...
14. 11.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