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어권의 대표적 시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1875-1926)와 게오르크 트라클(1887-1914)의 시집이 출간되었기에 '이주의 고전'으로 골라놓는다. 먼저 대표작의 제목으로 나온 릴케의 시선집 <두이노의 비가>(열린책들, 2014).
![](http://image.aladin.co.kr/product/4880/33/cover150/893291228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5/3/cover150/897013224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8/53/cover150/8937411598_1.jpg)
<두이노의 비가>는 댓 종의 번역본이 나왔었지만 현재 구할 수 있는 걸로는 이번에 나온 열린책들판과 책세상판이 유일한 듯싶다. 때문에 두 판본이 한국어로 읽을 수 있는 '릴케 시'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행스러운 건 릴케의 주요한 시들을 망라하고 있다는 점(하긴 책세상판은 '릴케 전집'이다).
![](http://d2hej51cni6o0x.cloudfront.net/images/magill/0111225109-Rilke.jpg)
1899년부터 1922년까지 발표된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시집 여덟 권(<기도 시집>, <형상 시집>, <신 시집>, <후기 시집>, <진혼가>, <마리아의 생애>,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 <두이노의 비가>)에 수록된 시 중 170편에 이르는 작품을 선정한 시 선집이다. 생전 다작가였던 릴케가 세상에 남기고 간 시적 대업을 한 권의 책을 통해 만나 볼 수 있다.
대조해서 읽어본다면, 릴케 시의 진의에 좀더 접근할 수 있을지 모른다. 열린책들판의 역자 손재준 교수는 원로 독문학자로 현재 고대 명예교수이며 게오르크 트라클의 <귀향자의 노래>도 번역서로 갖고 있다. 책세상판의 역자의 김재혁 교수와는 사제지간이 아닌가 싶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992/5/cover150/893100771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2/20/cover150/897013173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5/85/cover150/6000019715_1.jpg)
지난봄에는 릴케 초기 시선집으로 <릴케 시집>(문예출판사, 2014)이 출간됐었는데, 이 역시 책세상판 전집과 같이 읽어볼 수 있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53/cover150/897013088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729/82/cover150/897641861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6/46/cover150/8976415884_1.jpg)
릴케 가이드 북으로는 볼프강 레프만의 전기 <릴케>(책세상, 1997)과 조금 전문적일 수 있지만 김재혁 교수의 연구서 <복면을 한 운명>(고려대출판부, 2014)을 참고할 수 있다. 한국 시인들과의 비교문학적 연구로는 같은 저자의 <릴케와 한국의 시인들>(고려대출판부, 2006)도 나와 있다. 릴케에 처음 접하는 독자라면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나 <말테의 수기>부터 손에 드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기회가 닿으면 언젠가 <말테의 수기>도 강의에서 다뤄보고 싶다.
개인적으로는 '릴케와 러시아'도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인데, 영어와 러시아어로 몇 권의 책이 나와 있다. 기억에 릴케는 러시아를 세번쯤 방문했고 레르몬토프 등의 러시아 시를 독어로 옮긴 바 있다. 파스테르나크도 릴케와 인연이 있는 시인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878/39/cover150/118513613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0/79/cover150/897107127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740/1/cover150/1556593732_1.jpg)
오스트리아의 대표 시인 트라클의 시선집도 이번에 출간됐다. <꿈속의 제바스치안>(울력, 2014). 첫 번역은 아니지만 다른 판본들은 거의 존재감이 없었기에 이번 시집은 기대가 된다. 1차 세계대전 중에 약물과용으로 27세에 요절한 건 이번에 알았는데, 짧은 생을 마친 걸로는 레르몬토프와 비슷하다. "개인적으로 겪은 고통과 전쟁의 경험을 작품에 표현해, 퇴락과 죽음을 노래한 오스트리아 최고의 애가(哀歌) 작가가 되었다"는 소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1108/pimg_7537481531096685.jpg)
이번 늦가을엔 트라클과 만나보아도 좋겠다...
14. 11.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