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밍웨이의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소담출판사, 2014)와 마찬가지로 고전 작가의 빠진 작품 가운데 손꼽아 기다리던 작품이 번역돼 나왔다. D. H. 로렌스의 <사랑에 빠진 여인들>(을유문화사, 2014). <무지개>(민음사, 2006)에 이어지는 속편 격 작품으로 <아들과 연인>에서 <채털리 부인의 연인>으로 이어지는 로렌스의 문학 여정 가운데 허리에 해당하는 대표작이다.
통상 연구자들이 <사랑하는 여인들>, <연애하는 여인들>이라고 부르던 작품인데, 이제 번역본이 나왔으니 <사랑에 빠진 여인들>이라고 통일해서 부르면 되겠다. 소개는 이렇다.
<채털리 부인의 연인>으로 유명한 작가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의 또 다른 대표작이다. 이 책은 제인 오스틴의 문학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문학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상징적인 작품들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이 이 같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어슐라와 구드룬 자매가 보이는 페미니즘적인 시각 때문이다. 소설 속의 두 여인은 사랑과 결혼에 대한 기대보다는 남자에 대한 불신과 결혼에 대한 불안을 더 크게 보인다. 결혼은 어쩔 수 없이 한번쯤 거치지 않으면 안 될 경험일지도 모르고, 그나마 괜찮은 남자를 만날 확률은 거의 없다며 불안한 속내를 웃음으로 감추는 이들 자매의 사랑과 결혼 이야기는 이전 시대와는 확연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오스틴의 작품들과는 한 세기의 간격을 두고 있는데, 역시나 여성 주인공들의 사랑과 결혼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비교해서 읽어보는 것도 흥미롭겠다. <이성과 감성>에서 <에마>까지...
개인적으론 지난달에 <아들과 연인>을 강의하면서 <사랑에 빠진 여인들>도 빨리 번역되면 좋겠다는 바람을 피력했는데, 예상보다 빨리 번역본이 출간돼 반갑다. 기회가 닿으면 <무지개>와 같이 묶어서 강의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해봐야겠다...
14.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