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읽을 만한 책'을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어가겠다고 했는데, 좀 늦어졌다. 분야를 약간 조정하고 좀더 자유롭게 고르려고 한다. 책이 너무 많으니 목록을 줄여보는 것도 고려해봄직하나 어차피 골라서 읽는 거라면 읽을 만한 책 '후보'로 생각해도 되겠다.

 

 

1. 문학예술 

 

아무래도 올해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작가 파트릭 모디아노에게 관심을 쏠릴 듯하다. 이미 상당수 작품이 번역돼 있고 몇 권은 추가적으로 더 나온다고 하니까 독서 목록은 충분하다. 대표작으론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문학동네, 2010)이 꼽히는 모양인데, 1978년 공쿠르상 수장작이니까 그럴 만하다.

 

 

국내에 처음 번역된 작품은 그보다 한 해 전에 나온 <가족수첩>(1977)인데, 김화영 교수의 번역으로 <추억을 완성하기 위하여>(문장사, 1978)라고 나왔었다. 그게 <추억을 완성하기 위하여>(세계사, 1991)이라고 재출간됐고, 내가 읽은 것도 그 책이다. 읽었다곤 하지만 역자 해설만 기억이 난다. <프랑스문학 산책>(세계사, 1989)에서 저자 김화영 교수는 동시대 프랑스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르 클레지오, 미셸 투르니에와 함께 파트릭 모디아노를 꼽았었다. 그 중 벌써 두 작가가 노벨상 수상작가가 된 셈인데, 노벨문학상 심사위원회의 프랑스문학에 대한 '편애'라고 하면 억지일까. 그럼에도 물론 '이변'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결과다. 10년 전, 2004년에 옐리네크가 수상자로 선정됐을 때의 '파격'에 비하면 아주 조신해보이기까지 한다. 아무튼 결과는 나왔고 한두 권 읽어보는 걸로 '의례'를 갈음해도 좋을 듯. 그러다 작가의 매력에 뒤늦게 빠진다면 한 계절을 축내고 어쩔 수 없겠고.  

 

 

예술분야에선 미술사 관련서 세 권을 골랐다. 동물행동학자 데즈먼드 모리스의 <예술적 원숭이>(시그마북스, 2014)는 '300만 년에 걸친 미술 진화사'가 부제. 초기작이 이제 번역됐나 했더니 2013년작이다(초기에 유인원들의 그림에 대한 책을 펴냈던 걸로 기억한다). "<털없는 원숭이>로 유명한 동물학자이자 6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초현실주의 화가로 직접 작품활동을 펼쳐온 데즈먼드 모리스는 우리 인류의 비범한 진화 이야기를 통해 예술이 사소하고 평범하게 시작하여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시각 미술을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다."

 

윌 곰퍼츠의 <발칙한 현대미술사>(알에이치코리아, 2014)는 '천재 예술가들의 크리에이티브 경쟁'이 부제. 저자는 세계적인 미술관 테이트 갤러리 관장을 역임했고, 그런 경력을 바탕으로 "19세기 인상파 작품들에서 시작된 현대미술 태동기부터 앤디 워홀의 「캠벨수프 깡통」, 데이미언 허스트의 「상어」로 이어지는 동시대미술을 아우르며, 걸작에 숨은 이야기들을 예술가들의 눈과 입을 통해 생생하게 들려준다."

 

토비 레스터의 <다 빈치, 비트루비우스 인간을 그리다>(뿌리와이파리, 2014)는 '인체비례도에 얽힌 2000년 서양문화 이야기'다. 원과 정사각형 안에 사내가 팔다리를 내뻗고 있는 유명한 그림이 '비트루비우스 인간'이다. 저자는 "그 상징적 그림에 담긴 비밀을 풀고 미술과 사상의 역사를 솜씨 좋게 엮어낸다."

 

 

 

2. 인문학

 

네덜란드 만화가 마르흐레이트 데 헤이르의 시리즈를 고른다. <과학이 된 무모한 도전들><철학이 된 엉뚱한 생각들>, 그리고 <종교가 된 사적인 고민들>(원더박스, 2014). 좀 가벼운 느낌의 책을 고른 건 사회과학 분야에서 무거운 책을 골라서다.

 

 

3. 사회과학

 

충분히 짐작할 수 있지만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글항아리, 2014)이다. 주변에서도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이 책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중요한 것은 저자의 핵심 메시지를 더 많은 사람이 공유하는 것이라는 생각에서 '이달의 읽을 만한 책'으로도 골라놓는다. '올해의 책'으로도 가장 강력한 후보이기에 군말은 적지 않는다.

 

 

4. 과학 

 

과학쪽은 뇌과학 분야의 책 세 권을 골랐다. 모든 이전에 한번씩 언급했던 책들이라 별도의 언급은 피한다. 에릭 캔델의 <통찰의 시대>(알에이치코리아, 2014)와 크리스토퍼 코흐의 <의식>(알마, 2014), 그리고 조금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스티브 다얀의 <우리는 꼬리치기 위해 탄생했다>(위즈덤하우스, 2014) 등이다.

 

 

5. 글쓰기

 

글쓰기나 책읽기 분야의 책들을 매달 돌아가면서 고르려고 한다. 이달에는 문장 교정에 지침서가 될 만한 책으로 <이수열 선생님의 우리말 바로 쓰기>(현암사, 2014)와 <고종석의 문장1,2>(알마, 2014) 두 권을 고른다(<고종석의 문장>은 한번 '이달의 읽은 만한 책'으로 고른 적이 있다). 저자의 이름이 제목에 박힌 것 자체가 책에 대한 신뢰를 암시한다. 자신이 쓰는 문장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경험해보시길.

 

14. 10. 11.

 

 

P.S.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이달의 읽을 만한 고전'도 마르크스의 <자본>을 고른다, 라고 하면 좋겠지만 무리한 일이기에 자본론 읽기에 도움이 될 만한 책 세 권을 고른다. 최근에 나란히 출간됐는데, 김수행 교수의 <자본론 공부>(돌베개, 2014), 강신준 교수의 <오늘 '자본'을 읽다>(길, 2014), 그리고 중국학자 양자오의 <자본론을 읽다>(유유, 2014)가 그 세 권이다. 가이드를 셋이나 두면 여정이 꼬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정확한 길찾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