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별다른 의미를 갖고 있지 않다. 두 권의 책 제목을 붙여봤을 뿐이다. 살만 악타르의 <사물과 마음>(홍시, 2014)와 마이클 아이건의 <황홀>(NUN, 2014)이 그 두 권이다. 정신분석학 분야의 책으로 분류된다는 점이 공통점. 그리고 둘다 비교적 얇은 분량의 책이라는 점, 생소한 저자의 책이라는 점 등을 더 꼽아볼 수 있다.
<사물과 마음>의 원제는 '우리 욕망의 대상들'. '물건 뒤에 숨어 있는 흔들리는 마음들'이 부제다. 소개는 이렇다.
정신분석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시고니상 수상자인 살만 악타르의 책이다. <사물과 마음>은 살만 악타르가 쓴 유일한 대중 교양서이지만, 진정한 대가다움으로 깊이 있고 유려한 글솜씨를 발휘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사물을 보는 눈을 새로 뜨게 될 것이며, 인간과 사물이 융합할 때 우리 삶이 더 흥미롭고 의미로 충만해질 수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저자 소개가 없어서 찾아보니 역시나 인도 출신의 정신분석가로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에 관한 다수의 저작을 갖고 있다. 아마도 대부분 전문서 범주에 속하는 듯한데, 유일한 대중 교양서라고 하니까 읽어봄직하다.
내겐 생소하지만 마이클 아이건은 미국의 꽤 영향력 있는 정신분석가 중 한 명이라고 하며 국내에도 책이 알게 모르게 여럿 출간돼 있다. 주로 한국심리치료연구소에서 나온 책들이다. '정신분석가들에게 사랑 받는 정신분석 작가의 임상 에세이'라고 소개되는데, 얇은 김에 한번 읽어보고픈 생각이 든다. 한권 더 고른다면 <감정이 중요해>(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마음과 감정과 황홀에 대해서 한꺼번에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14. 0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