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별다른 의미를 갖고 있지 않다. 두 권의 책 제목을 붙여봤을 뿐이다. 살만 악타르의 <사물과 마음>(홍시, 2014)와 마이클 아이건의 <황홀>(NUN, 2014)이 그 두 권이다. 정신분석학 분야의 책으로 분류된다는 점이 공통점. 그리고 둘다 비교적 얇은 분량의 책이라는 점, 생소한 저자의 책이라는 점 등을 더 꼽아볼 수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4405/40/cover150/899394194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233/49/cover150/140005444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403/30/cover150/899434733x_1.jpg)
<사물과 마음>의 원제는 '우리 욕망의 대상들'. '물건 뒤에 숨어 있는 흔들리는 마음들'이 부제다. 소개는 이렇다.
정신분석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시고니상 수상자인 살만 악타르의 책이다. <사물과 마음>은 살만 악타르가 쓴 유일한 대중 교양서이지만, 진정한 대가다움으로 깊이 있고 유려한 글솜씨를 발휘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사물을 보는 눈을 새로 뜨게 될 것이며, 인간과 사물이 융합할 때 우리 삶이 더 흥미롭고 의미로 충만해질 수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저자 소개가 없어서 찾아보니 역시나 인도 출신의 정신분석가로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프로이트와 정신분석에 관한 다수의 저작을 갖고 있다. 아마도 대부분 전문서 범주에 속하는 듯한데, 유일한 대중 교양서라고 하니까 읽어봄직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227/30/cover150/899746506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226/25/cover150/899746504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847/42/cover150/899746502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93/93/cover150/898727999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61/74/cover150/898727991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59/71/cover150/8987279901_1.jpg)
내겐 생소하지만 마이클 아이건은 미국의 꽤 영향력 있는 정신분석가 중 한 명이라고 하며 국내에도 책이 알게 모르게 여럿 출간돼 있다. 주로 한국심리치료연구소에서 나온 책들이다. '정신분석가들에게 사랑 받는 정신분석 작가의 임상 에세이'라고 소개되는데, 얇은 김에 한번 읽어보고픈 생각이 든다. 한권 더 고른다면 <감정이 중요해>(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마음과 감정과 황홀에 대해서 한꺼번에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14. 0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