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을 앞두고 포스팅할 책 얘기들이 많지만, 난민 생활중이라(집 공사가 끝나서 내일 입주한다) 사정이 여의치가 않기에 지그문트 바우만과 레비나스 책에 관해서만 간단히 적는다.

 

 

먼저, 인디고연구소에서 기획한 '공동선 총서'의 둘째 권으로 바우만 인터뷰집이 출간됐다. <희망, 살아있는 자의 의무>(궁리, 2014)란 제목이다. 재작년에 나왔던 지젝 인터뷰집 <불가능한 것의 가능성>(궁리, 2012)과 마찬가지로 가장 효율적인 입문서 역할도 겸할 수 있겠다. 가장 최근에 나온 <빌려운 시간을 살아가기>(새물결, 2014)가 그런 역할에 적당한 책이었지만, 아무래도 글보다는 말이 이해하기 쉽고 간명하다. 소개도 다르지 않다.

<희망, 살아 있는 자의 의무>는 바우만 사유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개념과 사유의 지평을 두루 살펴보면서, 동시에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불안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바우만식의 진중하면서도 재기발랄한 해결책 등이 담겨 있다. 가히 바우만 사유의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레비나스에 관해서도 좋은 입문서가 출간됐다. 콜린 데이비스의 <처음 읽는 레비나스>(동녘, 2014). 처음 나온 건 아니다. <엠마누엘 레비나스>(다산글방, 2001)라고 나왔었는데, 번역이 좋지 않아서 선뜻 추천할 만한 책이 못 됐다. 새 번역본을 아직 손에 들지는 못했지만 다시 번역된 책인 만큼 이전의 오류를 답습하지는 않았을 거라고 믿는다. 개인적으로는 한창 레비나스의 책을 읽던 무렵 원서로 완독한 기억이 있는데, 명쾌한 서술이 인상적이었다. 지금은 주요 저작들도 번역돼 있고(<전체성과 무한>이 아직 빠진 상태이지만) 연구서도 몇 권 더 나와 있기 때문에 레비나스를 읽는 일이 한결 수월해졌지만 입문서로서 여전히 유효하지 않을까 싶다.

 

 

몇 번 언급한 적이 있지만 좀더 대중적인 입문서로는 알랭 핑켈크로트의 <사랑의 지혜>(동문선, 1998)이 추천할 만하고, 우치다 타츠루의 <레비나스의 사랑의 현상학>(갈라파고스, 2013)도 수준 있는 입문서다. 좀더 본격적인 독서를 원하는 독자라면 마리안느 레스쿠레의 <레비나스 평전>(살림, 2006)을 통해서 전체적인 견적을 내볼 수 있겠다.

 

흠, '처음 읽는'이라고 하니까 왠지 설레는 느낌도 나는군. 나도 '처음 읽는'으로 되돌아가고 싶다...

 

14. 06.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