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자 마셜 살린스의 이름을 알게 된 건 가라타니 고진 덕분인 듯한데(그래서 대표작 <석기시대 경제학>까지 구입해놓은 기억이 있다), 그의 책이 처음 번역되었다. <역사의 섬들>(뿌리와이파리, 2014). 처음 소개되는 만큼 '이주의 발견'에 값하지 않을 수 없다. 궁금하기도 하고(내친 김에 <석기시대 경제학>도 번역되길 바란다). 어떤 책인가.

 

지은이는 "가난은 재화의 많고 적음에 있는 게 아니라 사람들 간의 관계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수렵채집사회를 '최초의 풍요로운 사회'로 그린 <석기시대 경제학>으로 널리 알려진 인류학계의 거장이다. 1985년 저작인 이 책 <역사의 섬들>의 서장에서 그는, 자신의 과제가 역사학과 인류학의 고전적 경계를 허물고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경험으로써 역사 개념을 깨뜨리는" 데에 있다고 밝힌다. 역사적 사건이란 무엇인가? 역사와 구조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상징적 행위는 의미의 문화적 도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다섯 개의 강연, 그리고 책 전체의 문제의식과 논지를 정리한 서장은 이와 같은 질문들을 중심축으로 회전한다.

역사학에 대한 인류학자의 도전장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런 구도로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겠다.

 

 

아예 역사학과 인류학이란 주제를 다룬 <투키디데스에 대한 변명>이란 책도 있다(제목의 apologies는 정확하게 사과인지 변명인지, 아니면 해명인지 모르겠다). 투키디데스(투퀴디데스)야 물론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의 투키디데스다. 인류학자의 시각이 역사학자의 관점과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 보여주는 저작으로 보인다. 역사란 무엇인가를 새삼 질문하는 책으론 앤 커소이스와 존 도커의 <역사, 진실에 대한 이야기의 이야기>(작가정신, 2013)와 같이 읽어봐도 좋겠다 싶다. <역사는 허구인가?>가 원제인 책이다...

14. 05. 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