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학원신문에 실은 원서서평을 옮겨놓는다. 아직 번역서가 출간되지 않은 책을 대상으로 하기에 원서서평인데, 수잔 스튜어트의 <갈망에 대하여>(1993)는 조만간 소개될 것으로 안다. 짧은 서평이라 주된 내용만 간추렸다.

 

  

 

동국대학원신문(14. 05. 12) 욕망의 구조는 이야기에 어떻게 새겨지는가

 

언어를 통해서 경험을 서술할 때, 즉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모든 이야기의 밑자락에는 물론 이야기하고자 하는 욕망이 자리한다. 따라서 모든 이야기는 욕망의 구조와 어떤 식으로든 연결될 수밖에 없다. 수잔 스튜어트의 <갈망에 대하여(On Longing)>의 발상도 그것이다. 이야기는 어떻게 욕망을 떠안는가, 혹은 욕망의 구조는 이야기에 어떻게 새겨지는가. 욕망의 구조란 무엇인가. 욕망은 그 대상을 만들어냄과 동시에  대상과의 거리를 벌려놓는다. 기호적 차원에서 욕망은 기표와 기의 사이의 간극을 기입하며, 이 간극이 바로 상징계가 발생하는 공간이다.

 

저자에 따르면, ‘동경’ 혹은 ‘욕망’까지 포괄하는 ‘갈망’은 크게 세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갈망은 ‘간절한 욕망’을 뜻한다. 이 갈망은 시제상으로 기원(과거)과 종말(미래)을 향한다. 기표와 기의, 혹은 물질성과 의미의 관계가 탄생하는 지점과 초월되는 지점이 갈망의 서사가 닿고자 하는 곳이다. 둘째, 갈망은 ‘임신한 여성이 품는 공상적인 열망’도 가리킨다. 임신은 자연과 문화의 문턱이다. 세포분열이라는 생물학적 리얼리티와 상징계라는 문화적 리얼리티가 마주하는 장소다. 임신이라는 문턱은 자연/본능의 과잉으로 특징지어지며 동시에 그것은 문화/상징계의 전제조건이다. 임산부의 갈망은 생물학적 영속성을 향한 갈망이며, 이 갈망은 어머니의 욕망에 의해 ‘갈망의 자국’으로 아이의 무의식에 기입된다. 갈망의 세 번째 의미는 ‘소유물 혹은 부속물’이다. 이야기의 힘이란 유의미한 대상을 만들어냄으로써 유의미한 타자를 생산하고 탄생시킬 수 있는 힘이다. 그런 대상으로서 소유물은 전체를 대신하는 부분이면서 동시에 자아의 윤곽을 변형시키는 부속물이다. 가정의 실내장식이 내면의 자아를 대신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러한 갈망들은 어떻게 이야기 속으로 들어오게 되는가. 저자는 미니어처와 거인, 그리고 기념품과 수집품, 네 가지를 이야기의 주된 대상으로 다룬다. 이야기의 대상이라는 것은 달리 욕망의 대상이라는 뜻도 된다. 미니어처가 부르주아적 주체의 내적 시간과 공간의 은유라면, 거인은 국가의 추상적 권위나 집단적, 공적 삶의 은유이다. 미니어처가 ‘개인적인 것’의 발명과 관계있다면, 거인은 ‘집단적인 것’의 발명과 관계가 있다.

 

한편 기념품은 사건이나 경험을 지시하는 환유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미니 에펠탑은 에펠탑의 물질적 견본으로서 에펠탑 방문이라는 경험을 대신한다. 기념품에 얽힌 이야기는 물건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물건 소유자의 이야기이다. 기념품은 과거를 보존하는 동시에 현재를 폄하한다. 현재는 기념품이 가리키는 과거의 친밀하고 직접적인 경험에 견주어 낯설고 비인간적인 것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기념품이 우리의 관심을 과거로 되돌려놓으며 과거에 정통성을 부여한다면, 수집품의 경우에는 거꾸로 과거가 정통성을 부여하는 데 이용된다. 수집품은 역사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분류법에 따른다. 이런 수집의 원형은 노아의 방주다. 방주는 향수의 세계가 아니라 기대의 세계다. 기념품의 핵심이 기억이라면 수집품의 핵심은 망각이다. 기념품과 수집품의 목적이 이렇듯 다르기에, 저자에 따르면 스크랩북은 기념품에 속한다. 욕망의 이야기가 그 욕망의 대상에 의해 유형화될 수 있다면, <갈망에 대하여>는 그 욕망의 유형학의 훌륭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14. 05. 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